<칼럼 50> 공허의 시대를 살아내기
: 목적주의를 넘어 충만주의로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목적의 언어들 속에서 자란다.
꿈을 꿔라, 더 높이 오르라,
그리고 경제적 자유를 위해 더 많이 돈을 벌라.
학교는 생각하는 법보다 도달하는 법을 먼저 가르치고,
사회는 기다림보다 성과를 먼저 요구한다.
그래서 우리는 늘 달리고, 이루고, 또 달리며
삶의 의미를 목적의 끝에서만 찾으려 한다.
그러나 그 끝에서 느끼는 전율은 너무 짧다.
반면 성취 뒤에 따라오는 허무감은 길다.
그리고 성공의 문을 통과한 뒤에도 여전히 묻는다.
“이게 다인가?”
“다음 목표는 무엇이지?”
이 시대는 목적의 신을 숭배하지만 그 신은 인간의 영혼을 돌려주지 않는다.
모두가 무언가를 이루려 하지만 정작 아무도 지금 이 순간을 살고 있지 않다.
미래를 위해 현재를 포기하는 습관, 그것이 공허의 본질이다.
그리고 우리는 남는 시간조차 자신에게 돌려주지 못한다.
지루함을 견디지 못해 손끝으로 화면을 넘기며,
다른 이의 삶을 엿보거나 피상적인 정보들을 소비한다.
SNS의 환한 빛 속에서 우리의 얼굴은 점점 희미해진다.
끝없는 스크롤 속을 떠돌다 보면 어느새 우리는 자기 자신을 잃는다.
드라마는 우리의 감정을 대신 느껴주고,
넘쳐나는 정보는 흔적도 없이 스쳐간다.
그 사이 우리의 내면은 조용히 퇴장한다.
미래의 목적에 시달리고 현재의 공허를 잊기 위해 삶을 끝없이 소비하는 것.
그것이 공허의 또 다른 얼굴이다.
미래를 위해 현재를 포기하고 현재를 견디기 위해 현실을 흩뜨리는 습관.
그것이 이 시대의 피로다.
그러나 삶은 목적의 달성이 아니라 경험의 완성이다.
주어진 시간을 흘려보내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 속에서 존재를 채워가는 일이다.
우리는 결과를 위해 작동하는 기계가 아니다.
더 많은 성취로 공허를 가리려는 소비적 존재도 아니다.
인간은 느끼고 현존하기 위해 태어났다.
현존을 통해 자신이 살아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태어났다.
삶의 무게는 스쳐가는 시간의 양이 아니라 그 안에서 얼마나 깊이 깨어 있었는가로 결정된다.
한 잔의 차,
창가에 스미는 햇살,
누군가의 웃음소리.
숲길 속의 산책.
그 작은 순간에 내 모든 감각이 깨어 있다면 그것이 제대로 살아 있다는 증거다.
삶은 나중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 지금 이 순간 충만할 때 완성된다.
행복은 도달의 결과가 아니라 깊이 머무는 상태다.
몰입은 존재의 기도다.
우리가 지금 여기에 온전히 머무를 때,
시간은 느려지고 생각은 고요해진다.
그때 우리는 ‘지금’과 ‘영원’의 경계를 잊는다.
모든 감각이 한 점으로 모이고 세상이 맑게 울린다.
그 순간 우리는 시간의 밖으로 나간다.
과거의 후회도 미래의 불안도 사라진다.
대신 가슴 속을 채우는 것은 이루지 않아도 느낄 수 있는 충만함,
어디에도 가지 않아도 피어나는 행복감이다.
몰입은 우리를 다시 존재하는 인간으로 돌려놓는다.
우리는 더 이상 목적의 노예로 시간을 흘려보내며 허무를 쌓아가는 존재가 아니다.
의미 없이 소비된 하루는 결코 삶을 채우지 못한다.
이제 우리는 흘러가는 순간의 종이 아니라 매 순간을 살아내는 주인이 되어야 한다.
삶은 성과가 아니라 과정으로,
속도가 아니라 깊이로 완성된다.
우리는 더 멀리 가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더 충만히 존재하기 위해 태어났다.
오늘 하루를 하루라는 전체로 살아내는 것.
더 이상 미래의 인질로 살지 않고 이 순간을 온몸으로 살아내는 것.
“나는 오늘을 100% 살아냈다.”
이 한 문장이 모든 목적을 초월한 진정한 성공이다.
몰입하라.
시간이 사라지고 나는 잊혀지지만 존재는 깨어나 충만하다.
지금, 바로 여기에서.
한 잔의 빛:
우리는 목적의 신을 좇다
‘지금’을 잃었다.
끝없는 스크롤 속에서 나의 얼굴은 흐려지고,
시간은 흘렀으나 나는 살지 못했다.
시간은 흘렀으나 나는 살지 못했다.
이제 나는 멈춰 한 잔의 빛 속에 머문다.
그 짧은 숨결에 온 우주가 열린다.
그 짧은 숨결에 온 우주가 열린다.
NOTE: ‘공허의 시대’를 주제로 한 ‘라이프 코드’ 창시자 조남호 선생님의 강연과 저서 <공허의 시대>를 접하고, 그 내용 중 특히 공감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같은 주제에 대해 마음이 이끄는 대로 써 내려가 봤습니다. (강연과 책 정보는 아래 댓글 참조)
-
-
공허의 시대: https://www.youtube.com/watch?v=jdYI5AA0USg&t=8s
책: "공허의 시대 (조남호)":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7453355
-
NEW
심심풀이로 읽어보는 공원 이름들의 유래
Good Evening입니다. 지난 주말 올해 마지막 캠핑이 될수도 있는 Sequoia NP 으로 캠핑을 다녀왔네요. 다행히 어제 내린 비도 (아마도 Sequoia NP 지역은 어제 오늘 제법 많은양의 눈이 내렸어리라 생각됩니다) 비껴갈수 있었고 청명한 가을 날씨아래 함께 걸... -
NEW
공허의 시대
<칼럼 50> 공허의 시대를 살아내기 : 목적주의를 넘어 충만주의로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목적의 언어들 속에서 자란다. 꿈을 꿔라, 더 높이 오르라, 그리고 경제적 자유를 위해 더 많이 돈을 벌라. 학교는 생각하는 법보다 도달하는 법을 먼저 가르치고, 사회... -
<칼럼 49> 불편함이 주는 선물
<칼럼 49> 불편함이 주는 선물 산을 찾은 지 어느덧 15년. 나는 여전히 산행과 백패킹을 이어가며, 땀과 고독, 때로는 위험까지 마주한다. 배낭을 메고 산길로 들어서면, 도시의 소음은 서서히 멀어지고 바람이 나뭇잎 사이를 스치는 낮고 긴 숨결, 발밑 흙이 ... -
No Image
카풀비용 나눔 안내
안녕하세요. 바야흐로 산에 다니기 딱 좋은 시절이 돌아왔습니다. 산악회가 나날이 활성화되는 모습이 참 보기 좋습니다. 기존의 회원들은 알고 있는 사항이지만 새로 오신 분들께서 긴가민가 하실 수 있어서 활동이 잦아지는 시기에 맞춰 카풀 시 비용나눔에 ... -
나의 Purisima 산행후기
나의 Purisima 산행후기 (부제: 누굴 돼지로 아나? 아니, 이미 돼지가 되어 있었다 ) 휴먼님이 올리신 퓨리시마 산행후기와 댓글들을 보며 나와는 너무 다른 산행들을 하셨기에 저는 저만의 산행후기를 여기에 따로 올려 봅니다. --------- 참으로 오랜만의 산... -
No Image
8월 26일 현재 산악회 잔고 현황 알립니다.
중요한 사항이지만, 정회원 재무 게시판을 잘 안보게 되는 경향으로 인하여, 공지를 안보시는 분들이 적지 않은 거 않아서 편의상 본 게시판에도 올립니다. 지난 7월에 거금 $1,000을 도네이션으로 수령하기도 했고, 약갼의 변화가 있어서 많은 분들이 보실 수... -
<칼럼 48> 버널 폭포 앞에서
버널(Vernal) 폭포 앞에서 여러 번 너를 만나러 왔었다. 계절이 바뀌고, 하늘의 빛이 달라질 때마다 나는 너를 다시 찾았었다. 하지만 오늘, 이 5월의 폭포 앞에서, 나는 너를 처음 본 것처럼 숨이 막히고, 말문이 막혔다. 이토록 장엄하고 압도적인 너의 얼굴... -
<칼럼 47> 허구 속의 우리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에, 처음에 산문으로 올렸던 글을, 습작을 위해 시적 산문으로 다시 바꿔 봤... -
The Whale
"Call me Ishmael." 소설 모비딕의 유명한 첫 구절이다. 왜 아브라함과 그 정처의 아들인 이삭이 아니고 몸종 하갈의 아들인 이스마엘이라 불러 달라고 했을까? 이삭은 히브리 민족의 조상으로 일컬어지고 이스마엘은 아랍 민족의 조상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 -
<칼람 46> 영혼이 머무는 자리
(다음 글은 습작으로 한강 작가를 모방하여 시적 산문으로 써 본 글입니다.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 관심이 없는 분들은 과감히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46> 영혼(Soul)이 머무는 자리 우리는 살아가며 무수한 자리에 앉는다. 누군가는 명함 위에... -
<칼럼 45> 나르시스트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5> 나르시스트를 알아보고 대처하는 법 예전에 직장에서 겪은 경험을 바탕... -
<칼럼 44> 가공할만한 불편한 진실 (2부)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4> 가공(可恐)할 만한 불편한 진실 (2부): 씨앗 기름의 정체를 밝히다 예전... -
No Image
맹자 이야기 11
오늘은 오랜만에 한국 방문을 하는 날입니다. 약 2주 간은 자리를 비우게 되니 안그래도 요즘 이래저래 글 올리는게 뜸해서 이건 꼭하고 가리라 마음먹고 올립니다. 맹자가 고서이다보니 원문 해석본조차 이해가 어렵다는 민원이 들어와서 원문을 올리되 쉽게 ... -
No Image
신년 산행은 왜 설레는가
내 별명은 "밥"이었다. 나는 일부 중산층과 대다수 서민이 사는 서울 변두리에 있는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래서인지 그렇게 잘 나가지도, 그렇게 막 나가지도 않는 친구들을 만나게 되었다. 다들 새로 고등학교에 입학해 서먹한 1학년 때였다. 유달리 시끄러운... -
No Image
맹자이야기 10
梁惠王曰: “寡人願安承敎.”(양혜왕왈 과인원안승교) 양혜왕이 말하길(梁惠王曰): “과인이(寡人) 원컨대(願) 편안히(安) 가르침 받기를 바랍니다(承敎)." * 왕의 이상정치 실현은 인구증가로 이룰 수 있다고하자, 맹자에게 그 구체적 방안을 묻고 있습니다. 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