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타
2025.05.12 09:15

버널 폭포 앞에서

profile
Views 64 Votes 0 Comment 2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Attachme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Attachment
버널(Vernal) 폭포 앞에서 
 
여러 번 너를 만나러 왔었다.
계절이 바뀌고, 하늘의 빛이 달라질 때마다
나는 너를 다시 찾았었다. 
하지만 오늘, 이 5월의 폭포 앞에서,
나는 너를 처음 본 것처럼 숨이 막히고, 말문이 막혔다.
이토록 장엄하고 압도적인 너의 얼굴을 나는 이제껏 보지 못했다.
그리고 나는 이제서야 너의 이름이 품은 참된 뜻을 알았다.
봄 한가운데, 생의 정점에서 피어나는 너였기에
맘모드급으로 쏟아지는 물은 단순한 낙하가 아니었다.
그것은 하늘이 찢기는 포효였고,
세상이 갈라지는 거대한 굉음이었다.
쏴~ 우다당탕탕!
벼락처럼 내리꽂히며
쿵쾅, 콰광 쾅쾅!
부딪혀라, 부숴라, 쑤셔 박아라!!
거대한 물의 혀가 바위를 핥고,
내리치고, 쪼개며 폭포는 격렬한 리듬으로 자신을 흘러보냈다.
그 굉음은 요세미티 벨리 전체를 삼켰다.
산과 골짜기, 하늘과 나의 이름까지
그 압도적인 힘에 모두가 잠잠해졌다. 
나 또한 그 거스를 수 없는 힘에 빨려들어갔다.
 
그 순간 너는 우주의 흐름 그 자체였다.
세월의 상흔을 안고 지금도 부숴내고 있는 생의 집요함이었다.
미스트 트레일을 따라 젖은 계단을 오르며,
나는 현실과 환상의 경계선을 조용히 넘었다.
온몸이 물안개에 덮이고, 흠뻑 젖은 옷은 내 살과 하나가 되었다.
햇빛은 저 아래 물안개를 비집고 황홀한 무지개를 피워 올렸다.
그 무지개는 내 마음에 조용히 한 송이 꽃으로 피어났다.
 
비장한 마음으로 나는 너에게 물었다.
“너는 누구냐?
어디서 시작해 무엇을 위해 이토록
돌을 깨고, 안개를 품고 굉음을 삼키며 흘러내리는가?”
 
그러나 너는 대답하지 않았다.
그저 포효하며 흐를 뿐이었다.
어떤 질문도 받아들이지 않는 묵직한 침묵처럼,
너는 오직 너 자신으로 흘러갔다.
 
그 흐름 속에서,
너의 시간과 나의 시간을 포개어 보았다.
그리고 그 앞에서 내 삶이 얼마나 가볍고 연약한지 뼈저리게 깨달았다.
어쩌면 그래서,
나는 지금 너를 만나러 온 것인지도 모른다.
수천 년의 물줄기와 수천 갈래의 인연이 겹쳐
지금, 여기서 내가 너를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너와의 인연이 결코 가볍지 않음을 이 순간 깨달았다.
 
우연이었을까.
운명이었을까.
혹은 내가 미처 기억하지 못하는 오래전의 부름이었을까.
 
나는 이제 너에게 묻지 않는다.
다만, 오늘 너를 내 마음 깊은 곳에 새겨 두었다
오늘의 이 만남, 이 떨림을 영원히 기억하기 위해. 
 
너는 이제 내 심장과 영혼에 각인되어
앞으로의 세월 동안
내 안에서 조용히, 끊임없이 흐르고,
강렬히 살아 숨 쉴 것이다.
 
쏴아아~ 우당탕탕!
쿵쾅, 콰쾅쾅… 쾅!
 
 
 
(2025년 5월 11일, 봄의 절정의 버널과 네바다는 그 이름 자체였습니다. 위의 시는 현장에서 느낀 생생한 심상을 글로 담아봤습니다.)

버널 0.jpg

버널 3.jpg

네바다 1.jpg

  • ?
    에코 13 hours ago

    폭포수가 내려오는 모습에서 삶의 하찮음과 자연의 도도함을 발견했군요.폭포가 내려오는 모습에서 저는 현실속에 있는 비현실, 몽환적 웅장함, 거침없음을 봤어요..

  • profile
    네바다(Nevada), 시작의 낙하여!
     
    () 영혼들이 태양의 손끝에 천천히 녹아내릴 ,
    투명한 숨결이 너의 몸을 이루었다.

     
    산맥의 심장에서 태어난 물살,
    흐름은 버널(Vernal)보다 깊었고,
    오래된 기억을 품고 있었다.

     
    떨어지기 ,
    너는 잠시 하늘을 움켜쥐고
    우직한 침묵으로 절벽 끝에 매달렸다.

     
    그리고 마침내,
    굉음과 함께 세상을 향해 내리쳤다.
    파열된 물살은 천둥처럼 갈라지고, 부서지고,
    나를 지우고, 삼키고,
    원초적인 강렬한 힘으로 존재의 바닥을 흔들었다.
     
    나는 이상 나가 아니었다.
    너를 바라보는 나는 스러졌고,
    너의 리듬 속에 섞인 한 방울의 떨림이 되었다.
     
    요세미티의 모든 물줄기를 일깨우는
    위대한 낙하여,
    영원히 흘러라.
    요세미티를 지키는 정령 되어.
     
     

    네바다 2.jpg


  1. NEW

    버널 폭포 앞에서

    버널(Vernal) 폭포 앞에서 여러 번 너를 만나러 왔었다. 계절이 바뀌고, 하늘의 빛이 달라질 때마다 나는 너를 다시 찾았었다. 하지만 오늘, 이 5월의 폭포 앞에서, 나는 너를 처음 본 것처럼 숨이 막히고, 말문이 막혔다. 이토록 장엄하고 압도적인 너의 얼굴...
    Date2025.05.12 Category기타 By창공 Reply2 Views64 Votes0 newfile
    Read More
  2. Update

    <칼럼 47> 허구 속의 우리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에, 처음에 산문으로 올렸던 글을, 습작을 위해 시적 산문으로 다시 바꿔 봤...
    Date2025.05.06 Category건강-웰빙 By창공 Reply1 Views138 Votes1 updatefile
    Read More
  3. The Whale

    "Call me Ishmael." 소설 모비딕의 유명한 첫 구절이다. 왜 아브라함과 그 정처의 아들인 이삭이 아니고 몸종 하갈의 아들인 이스마엘이라 불러 달라고 했을까? 이삭은 히브리 민족의 조상으로 일컬어지고 이스마엘은 아랍 민족의 조상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
    Date2025.04.26 Category문화 예술 ByYC Reply3 Views162 Votes2 file
    Read More
  4. <칼람 46> 영혼이 머무는 자리

    (다음 글은 습작으로 한강 작가를 모방하여 시적 산문으로 써 본 글입니다.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 관심이 없는 분들은 과감히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46> 영혼(Soul)이 머무는 자리 우리는 살아가며 무수한 자리에 앉는다. 누군가는 명함 위에...
    Date2025.04.23 Category건강-웰빙 By창공 Reply2 Views186 Votes0 file
    Read More
  5. <칼럼 45> 나르시스트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5> 나르시스트를 알아보고 대처하는 법 예전에 직장에서 겪은 경험을 바탕...
    Date2025.04.15 Category건강-웰빙 By창공 Reply2 Views436 Votes0
    Read More
  6. <칼럼 44> 가공할만한 불편한 진실 (2부)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4> 가공(可恐)할 만한 불편한 진실 (2부): 씨앗 기름의 정체를 밝히다 예전...
    Date2025.03.26 Category건강-웰빙 By창공 Reply4 Views573 Votes0 file
    Read More
  7. No Image

    맹자 이야기 11

    오늘은 오랜만에 한국 방문을 하는 날입니다. 약 2주 간은 자리를 비우게 되니 안그래도 요즘 이래저래 글 올리는게 뜸해서 이건 꼭하고 가리라 마음먹고 올립니다. 맹자가 고서이다보니 원문 해석본조차 이해가 어렵다는 민원이 들어와서 원문을 올리되 쉽게 ...
    Date2025.01.29 Category교육-배움 ByFAB Reply0 Views373 Votes0
    Read More
  8. No Image

    신년 산행은 왜 설레는가

    내 별명은 "밥"이었다. 나는 일부 중산층과 대다수 서민이 사는 서울 변두리에 있는 고등학교를 다녔다. 그래서인지 그렇게 잘 나가지도, 그렇게 막 나가지도 않는 친구들을 만나게 되었다. 다들 새로 고등학교에 입학해 서먹한 1학년 때였다. 유달리 시끄러운...
    Date2025.01.17 Category기타 ByYC Reply6 Views652 Votes1
    Read More
  9. No Image

    맹자이야기 10

    梁惠王曰: “寡人願安承敎.”(양혜왕왈 과인원안승교) 양혜왕이 말하길(梁惠王曰): “과인이(寡人) 원컨대(願) 편안히(安) 가르침 받기를 바랍니다(承敎)." * 왕의 이상정치 실현은 인구증가로 이룰 수 있다고하자, 맹자에게 그 구체적 방안을 묻고 있습니다. 孟...
    Date2025.01.13 Category교육-배움 ByFAB Reply0 Views490 Votes1
    Read More
  10. No Image

    맹자 이야기 9

    어느새 2024년도 마지막날입니다. 뜻하지 않은 큰 사고로 인하여 연말 분위기가 많이 무겁습니다. 저도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오늘은 아홉번째 글로서 이민이속장(移民移粟章)이라는 별명을 가진 문단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七十者衣帛食肉, 黎民不飢不寒, 然...
    Date2024.12.31 Category교육-배움 ByFAB Reply0 Views485 Votes1
    Read More
  11. 서부여행 지도 만들었습니다.

    그림쟁이 딸내미의 주리를 틀어서 서부여행 지도 하나 만들었습니다. 허접하지만 필요하신 분들은 퍼가세요 ~~~.
    Date2024.12.16 Category기타 ByFAB Reply3 Views607 Votes4 file
    Read More
  12. No Image

    맹자이야기 8

    不違農時, 穀不可勝食也;(불위농시 곡불가승식야) 數罟不入洿池, 魚鼈不可勝食也;(촉고불입오지 어별불가승식야) 斧斤以時入山林, 材木不可勝用也.(부근이시입산림 임목불가승용야) 穀與魚鼈不可勝食, 材木不可勝用, 是使民養生喪死無憾也.(곡여어별불가승식 ...
    Date2024.12.13 Category교육-배움 ByFAB Reply0 Views278 Votes1
    Read More
  13. No Image

    맹자 이야기 7

    孟子對曰: “王好戰, 請以戰喩. 塡然鼓之, 兵刃旣接, 棄甲曳兵而走.(왕호전 청이전유 전연고지 병인기접 기갑예병이주) 或百步而後止, 或五十步而後止, 以五十步笑百步, 則何如?”(혹백보이후지 혹오십보이후지 이오십보소백보 즉하여) 맹자가 대답하여 말하길(...
    Date2024.11.26 Category교육-배움 ByFAB Reply1 Views325 Votes0
    Read More
  14. OPUS-I & II

    흔한 내 사무실 풍경이다. Whiteboard를 종횡부진 누비며 머리 속에 생각을 끄적이다 보면 실마리가 잡힐 때가 있다. 이 날은 새로 구한 marker도 시험해 볼 겸 총 천연색으로 휘갈기고 있었다. 그런데 다른 때와 달리 실마리는 잡히지 않고 점점 엉키고 있었...
    Date2024.11.22 Category기타 ByYC Reply5 Views607 Votes3 file
    Read More
  15. 감상문: 한강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설렘으로 읽었다. 그 소설을 읽을 때 인상적인 것은 연민으로 사람을 대하는 작가의 섬세한 태도와 그것을 담아내려는 문학적 표현방식이다. 작가의 태도는 화자로 등장하는 경하라는 인물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소설을 읽는 ...
    Date2024.11.18 Category문화 예술 By에코 Reply6 Views777 Votes3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