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칼 13> 나 꼰대다, 그래서 어쩌라고!
<창칼 13> 나 꼰대다, 그래서 어쩌라고! (2부)
부제: “꼰대 코드 (Kkondae Code)”

-
?
아주 잘 읽었습니다. Neuroplasticity. 요즘 제 생각이 흠뻑 빠진 주제입니다. 절박함은 아니고 지속성으로…. Thanks
-
제가 처음으로 신경가소성 개념을 접한 때가 코비드가 시작되기 전 4년 전에 Joe Dispenza 박사의 뉴욕타임즈 선정 베스트셀러인 Breaking the Habit of Being Yourself 자신이라는 습관에서 깨어 나오기 (책 링크)라는 책을 접하면서였습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제목이 딱 "꼰대에서 벗어나기"네요. 그 당시 제가 이 책을 선비님한테도 추천했던 기억도 나고요.
고착화된 나라는 습관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내가 되는 게 얼마나 어려운지, 하지만 충분히 불가능하지는 않다는 것을 신경가소성의 원칙을 빌려와서 보여주었던 강력한 책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 때, 와닿는 내용이 많아서 kindle로 한 번 정독하고, 오디오북 Audible로 두 번 들었던 기억이 나네요. 연인을 처음 만난 기억처럼 지금은 아득해진 책이 되었는데, 영원한 나의 연인 중의 하나로 남게 되기를 바래 봅니다. 다음에 뵈면 할 얘기가 많을 듯 합니다.
-
?
뇌의 점진적 지속적 학습 요건 땜에 그런지 영어 공부를 해도 별 진척이 없나 보네요. 언제쯤 그 얽힘과 설킴이 빛을 발할까요? 뇌의 지속적 자극을 위해 일 포기 하고 돌아 댕겨야 할 듯요. 여행이나 긴 산행이 힘들고 에피소드가 많을수록 그 여운이 오래 가는 것도 뇌의 가소성의 긍정적인 면이겠죠?
-
지속적인 영어 공부도, 열심히 새로운 곳을 돌아다닌 것도 병행하시면 더 가소성이 보다 효율적으로 작동하지 않을까요? 나이가 들수록 젊을 때 보다 더 열심히 해야 되는 것 두 가지: 꾸준히 공부하기와 운동 플러스 돌아 댕기기. 베산의 베백련을 견제하기 위해, 머리와 몸을 동시에 같이 챙기는 베산 꼰대 연합회 (베꼰연)의 결성을 생각해 보고 있답니다.^^ 기대하시라.
-
?
점진적 학습이란, 근육을 키우기 위한 근육 운동과 같지 않을까요? 근육을 키우려면 근육이 통증을 느껴서 살짝 무리가 가해지는 정도까지 운동을 해줘야 통증이 치유되면서 근육이 늘어나죠. 마찬가지로, 고착화된 틀을 살짝 깰 수 있을 정도까지 (그 정도면 놀람의 정도를 넘어서 약간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정도까지) 생각의 틀을 바꿔야, 점진적으로 뇌 구조 바뀌지 않을까 싶네요.
-
'메아리적' 울림이 있는 멘트시네요. 뻔하지만 실행하기는 여간해서 쉽지 않은 반복과 지속의 원리.
-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초등학교 5학년으로 기억한... -
<칼럼 42> 크루시블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2> The Crucible (도가니)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서부... -
No Image
맹자이야기 6
梁惠王曰: “寡人之於國也, 盡心焉耳矣.(과인지어국야 진심언이의) 河內凶, 則移其民於河東, 移其粟於河內.(하내흉 즉사민이어하동 사기속어하내) 河東凶亦然. 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者.(하도흉역연 찰인국지정 무여과인지용심자) 양혜왕이 말하길(梁惠王... -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한강 작가의 노벨 문... -
No Image
맹자 이야기 5
이제부터는 제목을 맹자 이야기로 변경해서 올립니다. 내용이 어렵다는 민원이 들어와서 좀더 현대적인 표현으로 해석하고, 주희의 해석 부분은 필요하지 않으면 생략해서 내용을 간단하게 작성하겠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관심주셔서 감읍할 따름입니다... -
A blessing in disguise in Portland, Oregon
어쩌다 보니 살이 빠졌습니다. 직장과 주변에서 이런 저를 보고 어찌 살을 뺐는지 물어 보았습니다. 반복되는 질문에 답하다 좀 귀찮아져 그동안 있었던 일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시작은 몸무게를 잴 이 저울을 구입하면서 입니다. https://a.co/d/0MjSNx0 이... -
No Image
뜬금없이 시작하는 맹자이야기 4
3편의 조회수가 줄어든 걸로 보아 맹자이야기의 관심도가 점차 정상으로 가는 거 같습니다. 아무리 어려워도 끝까지 가봐야겠습니다. 5 년 이상 걸릴 겁니다. 이제부터는 제후와 백성이 함께 즐기는 것에 대하여 양혜왕과 맹자간의 연못가에서 대화가 전개됩니... -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최근에 있었던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여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여린 감수성의 소유자임에도 폭력에 대해서 온 몸으로 아파하면서 거부하고 저항했던 그녀.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광주 5.18... -
오늘은 슬프지만 그래도 희망의 내일을 꿈꿔 봅니다
3년전쯤으로 기억합니다. 이스트 시에라의 McGee Pass 로 들어가 JMT 를 타고 남행하여 Mono Pass 로 나오는 45마일 정도의 백팩킹 계획이었습니다. 둘째날 McGee Pass (12, 300ft) 를 넘는데 6월중이라 그런지 패스 부근에 제법 많은양의 눈이 있었고 눈을 헤... -
No Image
뜬금없이 시작하는 맹자이야기 3
未有仁而遺其親者也, 未有義而後其君者也.(미유인이유기친자야 미유의이후기군자야) 인하면서도(仁而) 그 부모를 버린 사람은(遺其親者) 아직 있지 않고(未有也), 의로우면서도(義而) 그 임금을 뒤로한 사람은(後其君者) 아직 있지 않습니다(未有也). 한자 토... -
No Image
뜬금없이 시작하는 맹자이야기 2
맹자집주를 보아가면서 진행하려니 본문이 상당히 길어집니다. 주희의 해석이 절대적이라고는 할수 없겠지만, 조선을 디자인한 정도전 선생으로 시작한 조선 성리학이 주희본을 텍스트로 선택하여 그것이 거의 바이블처럼 되어 있다보니 자연히 주희본을 선정... -
설악산 암릉 이야기 3편 설악산 리지의 개척 등반사 (퍼옴)
설악산 리지의 개척 등반사 (울산암, 천화대, 용아장성, 공룡능선을 설악산은 천태만상의 얼굴을 하고 수많은 등산객들을 맞이하는 천혜의 도장이다. 장대한 능선과 깊은 계곡, 사시사철 변화무쌍함을 보여주는 기암절벽은 많은 등산객들을 유혹한다. 산을 좋... -
No Image
설악산 암릉 이야기 2편 석주길
하늘에서 꽃이 내려와 앉았다는 천화대(天花臺)는 설악에서 가장 아름다운 암릉길이고 그곳에는 '흑범길', '염라길', '석주길' 등 멋진 암릉길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석주길'은 아름다움 보다는 그곳에 얽힌 설화 같은 이야기로 더 유명하다. 그 슬픈 이야기는... -
No Image
고국의 산 설악산 암릉 이야기 1편 천화대
여기 모두 산이 좋아서 모인 분들이라 다른 이야기보다 산에 관련된 이야기를 함 풀어 보겠습니다 물론 퍼 왔고요 제가 한국에 있을때 제일 좋아한 산 설악 입니다 지금은 자주 못가지만 항상 그리운 설악 입니다 설악산은 천태만상의 얼굴을 하고 수많은 등산... -
뜬금없이 시작하는 맹자이야기
네~~~~ 뜬금이 없지만, 뭐, 여기는 자유로이 글을 쓰는 공간이니깐 시작해보려 합니다. 제가 산악회를 위해 할 수 있는게 뭘까 생각하다가 "맹자"라는 책을 장기간에 걸쳐 주 1회 올려보는 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아마도 4,5 년 정도는 걸릴꺼 같습니다.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