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웰빙
2025.05.06 10:14

<칼럼 47> 허구 속의 우리

profile
조회 수 147 추천 수 1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래에, 처음에 산문으로 올렸던 글을, 습작을 위해 시적 산문으로 다시 바꿔 봤습니다.)
 
<칼럼 47> 허구 속의 '우리', 그리고 진실의 '나'
 
인류는 언제나 이야기 속에서 숨 쉬어왔다.
이야기는 때로 신화가 되었고,
때로는 진리처럼 반짝였으며,
어떤 날엔 허상으로 우리를 이끌거나 가두었다.
 
우리가 ‘진실’이라 믿는 것들,
그 믿음의 틈새에는,
오래된 이야기의 그림자와
과학이라는 이름을 덧입은 새로운 신화가
조용히 숨어 있다.
 
그럴듯한 설명, 모두가 고개를 끄덕이는 통념,
'팩트'라는 가면을 쓴 가설들…
우리는 그 허구 위에 '우리'를 만들고
서로 기대며 살아간다.
의심 없는 연대.
그러나 그것은 때때로
허구의 집단 속에 진실을 감추는 연막이다.
 
신화는 사라지지 않는다.
고대의 전설이 아니어도,
종교적 믿음이 아니어도,
그것은 여전히 우리의 말투 속에,
과학 교과서의 각주 속에,
유튜브 영상과 뉴스 해설 속에
은밀히 스며들어 있다.
 
에스키모어의 눈(雪) 이야기가 있다.
그들은 눈과 함께 살아가니 수십 가지 눈의 어휘들을 갖고 있다는
그 매혹적인 설화이다.
그러나 그것은 언어의 구조에서 비롯된 착시였고,
우리는 언어 구조적 파생을 문화적 진리로 오해한 것이다.
즉, 문화적 환경이 언어를 결정한다는 오해 말이다. 
그 신화는,
세상의 인식 속으로 퍼졌고,
마치 사실인양 여전히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고 있다.
 
의학과 과학도 예외가 아니다.
심장을 해친다는 허구의 콜레스테롤 가설과 포화지방에 대한 세뇌된 공포,
우리는 뇌의 10%만 사용한다는 달콤한 낭설.
그 모두가 근거를 잃고도,
여전히 광고가 되고, 슬로건이 되고,
'전문가'의 말투로 다시 살아난다.
신화는,
진실이 아니라 반복으로 남는다.
 
왜 우리는 그토록 쉽게 믿고,
쉽게 머무는가?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는 말한다.
"허구로 구성된 신화와 종교는 협력을 가능케 하는 집단의 문법이다."
신화 연구의 대가인 조셉 캠벨은 말한다.
"신화는 우리 내면과 우주의 구조를 잇는 다리다."
 
그 다리는 때로,
불확실한 세계를 건너는 유일한 통로가 된다.
그러나 어떤 다리는
더 이상 강을 건너지 못하고,
오히려 우리를 그 자리에 묶어둔다.
 
신화는 길이 될 수도,
안개가 될 수도 있다.
위안이자 미로,
방향이자 족쇄.
 
그러므로 우리는,
그 허구를 부정하지 않되
그 안에 머물지 않는 사람이어야 한다.
 
스스로에게, 조용히 물을 줄 아는 사람.
“이 이야기는 누구의 것인가?”
“이 믿음은 지금도 나를 살리고 있는가,
아니면 나를 가두고 있는가?”
 
의심은 배신이 아니다.
그것은 탄생의 예고다.
질문은 경계가 아니다.
그것은 자유의 첫걸음이다.
 
우리는 매일
크고 작은 신화 속을 지나간다.
그 신화에 기댈 수도,
그 신화를 끌고 걸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결국,
진실의 길은 언제나 홀로 걸어야 한다.
내가 선택한,
‘나’의 길이어야 한다.
 
어느 날,
오래 믿어온 문장이 문득 낯설어질 때,
너무도 자연스럽던 신념이
조용히 금이 가기 시작할 때
 
그때가 바로,
우리가 ‘허구의 우리’에서 걸어나와
‘진실의 나’로
되돌아가는 시간일 것이다.
 
 

 

신화 그림.jpg

  • profile
    창공 2025.05.06 18:53
    <믿음 사이에 선 질문>
     
    진실은 언제나 가장 조용한 곳에 숨어 있다.
    모두가 맞다고 말할 때,
    나는 잠시 걸음을 멈추고 스스로에게 묻는다.
     
    의심은 어쩌면 아직 끝나지 않은 대화이고,
    우리가 더 깊이 살아가기 위한 작은 용기일지도 모른다.
     
    지금 내가 붙잡고 있는 이 이야기는
    나를 더 자유롭게 하는가,
    아니면 천천히 가두고 있는가.
     
    물음 하나로 균열이 생기고,
    그 틈으로 아주 오래된 나의 진면목이
    조용히 되돌아온다.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건강-웰빙 <칼럼 47> 허구 속의 우리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 1 file 창공 147 1 2025.05.06
건강-웰빙 <칼람 46> 영혼이 머무는 자리 (다음 글은 습작으로 한강 작가를 모방하여 시적 산문으로 써 본 글입니다.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 관심이 없는 분들은 과감히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 file 창공 187 0 2025.04.23
건강-웰빙 <칼럼 45> 나르시스트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 2 창공 437 0 2025.04.15
건강-웰빙 <칼럼 44> 가공할만한 불편한 진실 (2부)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하여,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 4 file 창공 576 0 2025.03.26
건강-웰빙 A blessing in disguise in Portland, Oregon 어쩌다 보니 살이 빠졌습니다. 직장과 주변에서 이런 저를 보고 어찌 살을 뺐는지 물어 보았습니다. 반복되는 질문에 답하다 좀 귀찮아져 그동안 있었던 일을 정... 6 file YC 542 0 2024.10.31
건강-웰빙 <창칼 39> 내가 의지하는 가장 소중한 친구 <창칼 39> 내가 의지하는 가장 소중한 친구 초등학교 5학년 여름이었던 것 같다. 집 앞에 있는 큰 호수에서 친구 서너 명과 멱을 감으며 놀고 있었다. 그때, 헤엄... 4 file 창공 750 0 2024.07.24
건강-웰빙 <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창칼 35> 멈추고 가만히 바라보면 보이는 것들 (1부) 명상이라는 단어가 일상적으로 입에 오르내리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명상의 인기는 스트레스와 불안이 넘... 5 file 창공 775 0 2024.05.13
건강-웰빙 <창칼 34> 근테크를 얼마나 하시나요? <창칼 34> 평소에 근테크를 얼마나 하시나요? 노화를 늦추는 방법에 요즘처럼 관심이 많았던 적이 있었나 싶다. 그만큼 방송, 신문, 유툽, 출판물 등에서 노화 예... 7 file 창공 617 0 2024.05.07
건강-웰빙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불완전한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불완전한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 가끔은 인간이 다른 동물에 비해서 그렇게 뛰어난지 의심스러울 때도 있기는 ... 7 file 창공 700 0 2024.03.06
건강-웰빙 <창칼 28> 그게 뭐가 그리 중한디? (인슐린 저항) <창칼 28> 그게 뭐가 그리 중한디? (부제: 인슐린 저항의 어마무시한 비밀) 건강 정보가 넘쳐나서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 과정보의 역효과로 오히... 15 file 창공 932 0 2024.02.27
건강-웰빙 <창칼 26> 가공할 만한 불편한 진실 <창칼 26> 가공(加工)식품의 가공(可恐)할 만한 불편한 진실 (그리고 가공(架空)하지 않는 진실한 목소리) 어떤 전쟁이나 전염병 보다 더 무섭게 우리의 삶을 파... 6 file 창공 680 0 2024.02.05
건강-웰빙 <창칼 25> 나는 몸이다!! <창칼 25> 나는 몸이다!! (부제: 몸의 노래 - 몸의 철학) 짧지 않은 인생을 살아오면서 나는 두 번의 큰 위기가 있었다. 하나는 고등학교 때 장기간의 수면 부족... 9 file 창공 784 0 2024.01.24
건강-웰빙 <창칼 24> 치매를 침해하다 <창칼 24> 치매를 침해(侵害)하다 6개월 전에 90세의 나이로 돌아가신 어머니를 생각해 본다. 돌아가시기 10년전부터 어린 아이 같은 행동을 자주 하셨다. 예를 ... 19 file 창공 895 0 2024.01.18
건강-웰빙 <창칼 18> 스페셜 인터뷰: 꼰대이면서 꼰대가 아닌 그대 <창칼 18> 스페셜 인터뷰: 꼰대이면서 꼰대가 아닌 그대 <부제>: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관점에서 반복되는 꼰대 이야기에 식상함을 느낀 한 여자가 인터뷰를 요... 4 file 창공 647 2 2023.11.06
건강-웰빙 <창칼 17> 중동 전쟁과 꼰성 <창칼 17> 전쟁과 도그마 그리고 꼰성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전쟁이 시작된지 3주째를 접어들면서 많은 이들이 이 전쟁이 얼마나 확전되고 장기화 될지 우려하... 6 file 창공 623 1 2023.10.23
건강-웰빙 <창칼 13> 나 꼰대다, 그래서 어쩌라고! <창칼 13> 나 꼰대다, 그래서 어쩌라고! (2부) 부제: “꼰대 코드 (Kkondae Code)” 마을에서 또다시 회의가 열렸다. 회의가 자주 열리는 거로 보아, 여기는 꼰대들... 6 file 창공 630 0 2023.09.19
건강-웰빙 <창칼 12> 나도 꼰대라고? <창칼 12> 나도 꼰대라고? (1부) 마을에서 회의가 열렸다. 회의 진행자인 마을 이장이 말했다. “요즘 들어 유독 꼰대들에 대한 야그들이 많은데 이게 우리와 무관... 12 file 창공 959 0 2023.09.07
건강-웰빙 <창칼 8> 암 치료법의 도그마와 신화 깨기 (Disclaimer: 여기에서 논의 된 내용들은 철저히 개인이 체험하고 개인적으로로 공부한 것을 정리한 것에 불과하니 모든 의학적 결정은 독자 개인이 정확한 의학 ... 11 file 창공 700 0 2023.07.19
건강-웰빙 <창칼 7> 총과 약, 음모론과 진실 게임 (Disclaimer: 여기에서 논의 된 내용들은 철저히 개인이 체험하고 개인적으로로 공부한 것을 정리한 것에 불과하니 모든 의학적 결정은 독자 개인이 정확한 의학 ... 12 file 창공 948 0 2023.07.04
건강-웰빙 <창칼 3> 나의 저탄 체험기 <창칼 3> 나의 저탄 체험기 그 무엇이냐, 창공이라는 자가 최근들어 유별나게 탄수화물 음식을 절식한다는 무성한 소문과 함께 산행길에서도 보면 그 맛있는 온갖... 20 창공 935 0 2023.05.15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