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문화 예술
2025.04.26 23:59

The Whale

profile
YC
Views 106 Votes 1 Comment 3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Attachment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Attachment

"Call me Ishmael."

 

소설 모비딕의 유명한 첫 구절이다.

왜 아브라함과 그 정처의 아들인 이삭이 아니고 몸종 하갈의 아들인 이스마엘이라 불러 달라고 했을까?

이삭은 히브리 민족의 조상으로 일컬어지고 이스마엘은 아랍 민족의 조상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쿠란에서는 신의 은총을 받은 적자는 이삭이 아니라 맏아들인 이스마엘로 얘기한다.

그들 사이의 자존심 대결인 것도 같다.

어쨌든 유대교와 기독교의 영향이 큰 서구 문화에서는 이스마엘은 어딘가 정통적인 느낌은 아니다.

소설에서 이스마엘은 에이허브 선장이 이끄는 피쿼드호에 선원이자 거대한 고래, 모비딕을 잡는 여정을 그린 화자로 등장한다.

예전 이 소설을 읽으며 나는 화자인 이스마엘에게 이끌렸다.

모비딕으로 인해 다리 하나를 잃고 복수심에 불타는 에이허브 선장의 열정, 또는 광기 어린 집념과 행동은 내게 그리 다가 오지 않았다.

현실적이고 정확한 판단을 하며 에이허브 선장을 비판하는 항해사 스타벅스가 더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다만 최후의 순간에 에이허브 선장의 편에 서 피쿼드 호와 최후를 같이 하는 그를 이해할 것 같으나 나라면 그렇게 하지 않으리라는 생각을 했다.

이스마엘은 이 모든 것을 다소 한발짝 떨어져 지켜 보면 얘기를 전했다.

열정에 파 묻히거나, 어떤 대상에 차츰 빠지는 것을 경계하는 내 성격 탓으로 이스마엘이라는 화자에 더 끌렸던 것 같다.

 

----------

"The Whale"이라는 영화를 보았다.

영화에서는 소설 모비딕이 중요한 모티브로 쓰인다.

찰리는 600 파운드나 되는 고도 비만으로 10여년 전 동성애자인 그는 남자 친구와 살기 위해 가족을 버리고 나왔다.

그런데 그 남자 친구마저 자살한 이후 세상과 단절하고 지내고 있었다.

그는 온라인으로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작문을 지도하는 강사의 일을 하고 있다.

고도 비만의 모습은 학생들에게 노트북의 카메라가 망가졌다고 둘러대어 숨길 수 있었다.

그러다 점점 건강이 악화되고 그는 자신이 죽어 가고 있음을 깨달았다.

8살 이후 보지 않았던 딸 엘리를 거의 10년 만에 만나 그녀가 어린 딸을 버린 자신을 깊이 원망하는 것을 알았다.

엘리가 자신으로 인해 반항적으로 자랐고 학교 생활에 적응 못하고 퇴학 당할 위기라는 것에 자책을 하게 되었다.

딸을 돕고자 작문 과제를 도와 주겠다고 하나 엘리는 거부한다.

찰리는 이에 자신을 만나 주면 모든 재산을 엘리에게 주겠다고 한다.

이후 줄거리는 스포일러라 생략한다.

 

영화의 구조는 단순하다.

가족을 버린 남자와 그 반항적인 딸에 대한 관계가 기둥 줄거리이고

주변 인물로 찰리를 돌보는 간호사, 얼떨결에 이 집에 끼어든 어린 선교사, 찰리의 전처, 피자 배달부가 전부이다.

적은 등장 인물이지만 짜임새 있는 서사와 인물간 갈등이 잠시도 극에서 시선을 떼지 못하게 한다.

특히 주인공인 브랜드 프레이저의 연기가 압권이다.

젊었을 때 미이라 시리즈와 조지 오브 정글에 나왔던 그 꽃미남은 중년의 배불뚝이가 되어 있었다.

 

조지오브정글_브랜든프레이저.jpg

더웨일.jpeg

 

  

자폐를 가진 아이와 부인과의 힘든 이혼, 초기 성공에 비해 망가진 그의 경력으로 이 영화 출연 전 그는 잊혀진 배우였다.

수 년 전 그가 이 영화로 아카데미 주연상을 받았다는 소식은 그의 이런 사정을 모르고 흘려 들었다.

영화를 보면 그의 화려한 젊은 날과 수많은 아픔을 겪은 후 지금의 모습이 가슴 아프게 다가 온다.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그가 수상자로 호명되자 사람들이 수 분 동안 기립 박수를 쳐 주는 장면이 있다.

상처를 극복하는 한 인간을 바라 보는 것은 울림이 있다.

 

----------------------------------------

다시 소설 모비딕을 생각한다.

영화에서 고래는 비만한 사람의 멸칭이고 고래는 소설처럼 사람들에게 미움 받는 주인공 같은 존재를 의미한다.

그러나 영화에서 고래는 단지 부정적인 의미로만 쓰인 것은 아니다. 역시 스포일러라 생략한다.

 

소설에서 고래 모비딕의 입장에 대한 서술은 없다.

모비딕으로서는 바다에서 조용히 살다 괴롭히는 인간을 만났을 것이다.

모비딕도 찰리처럼 죽어 간다.

찰리와는 달리 자신이 왜 인간들에게 미움을 받는지도 모를 것이다.

왜 에이허브가 자신에게 원한을 갖는지, 이쉬마엘, 스타벅스와 선원은 왜 자신의 몸에서 나오는 기름을 원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다.

찰리는 마지막에 구원을 받지만 모비딕은 어떤 생각을 하며 최후를 맞이 하였을지 알지 못한다.

 

허먼 멜빌이 살아 있다면 한번 이와 같은 시작으로 소설을 써 달라고 싶다.

 

"Call me Whale."

 

 

 

  • profile
    창공 2025.04.27 16:52
     
    말씀을 들으니 소설 '모비딕'의 흰고래는 자신이 왜 인간들로부터 공격을 받는지 알 수 없는 순수한 희생자로 다가옵니다. 영화 '고래'의 주인공 찰리는 부당한 비난의 대상이면서도 동시에 가족에게 상처를 준 이중적 존재로 비치고요. 찰리 역의 배우 브렌든 프레이저는 이 복잡한 인간 드라마를 자신의 실제 인생사와 겹쳐 연기해낸 것 같네요. 이는 결국, 슬럼프를 이겨내고 재기해서 관객들의 박수를 받는 모습을 보여 줌으로써 우리가 수 개월간 다같이 겪은 실화 속의 한 사람을 떠오르게 합니다.
     
    그런데 YC님은 이 모든 감정의 소용돌이 속에 빨려들어가지 않고 거리를 두고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시는군요. 소설, '모비딕' 속 이스마엘이 그랬던 것처럼 말입니다.
     
    허먼 멜빌의 '모비딕'이 "Call me Ishmael!"로 시작한다면, YC님의 버전은 "Call me Whale!"이 되겠네요. 이 고래는 작년 한 해 동안 우리가 함께 겪은 힘겨운 드라마를 극복해온 한 주인공을, 그리고 영화 속 찰리와 그의 역을 맡은 브렌든 프레이저를 떠오르게 합니다. 동시에, 모든 상황을 냉철하게 관조하는 YC님도 떠오르고요.
     

    '나는 이 은유와 상징들 속에서 어디에 위치할까'란 생각도 해보게 됩니다. YC님의 문장들은 단순한 비유를 넘어, 숨가쁘고 치열했던 "우리"의 경험을 문학적 깊이로 승화시키는 통찰의 힘을 보여 주네요. 제가 해석에 오버를 했을까요? ^^

     

  • profile
    창공 2025.04.27 20:42
    YC님의 글에 감흥을 받고, 님이 제시한 방향에 맞춰 시적 산문을 지어봤습니다.
    단, 허먼 멜빌의 허락을 못 받았다는 걸 밝힙니다.
     

    <고래의 노래> 

    나를 고래라 부르라!
    심연 깊은 바다, 빛도 닿지 않는 곳에서
    나는 고요히 살아가고 있었다.
    나는 다만 숨 쉬었고, 다만 헤엄쳤고, 다만 존재했을 뿐이었다.
    그러나 세상은 내 커다란 몸짓을 두려워했다.
    내 깊은 침묵을 오해했다. 내 자유로운 길을 미워했다.
    두려움은 소문이 되고, 소문은 증오가 되고, 증오는 작살을 들게 했다.
    "저것을 잡아라! 우리의 불행은 저 고래 때문이다!"
    나는 놀랐다. 나는 아팠다.그러나 무엇보다 슬펐다.
    나는 아무것도 빼앗지 않았고, 아무도 해치지 않았다.
    나는 도망쳤다. 산호숲을 지나고, 깊은 물살을 가르고, 어둠 속으로 숨었다.
    그러나 작살은 멈추지 않았다.
    거친 함성과  날 선 배들이  내 바다를 찢었다.
    나는 알았다.
    세상에는 이유 없이 죄가 되는 존재가 있다는 것을.
    존재만으로 미움받고, 살아있다는 이유로 표적이 되는 운명이 있다는 것을.
     
    나는 숨을 깊이 삼켰다. 
    휘청이는 몸을 일으켜 파도를 따라 마지막 길을 걸었다.
    그리고 조용히 속삭였다.
    "그래, 나를 고래라 부르라. 그러나 기억하라,
    고래는 결코 너희를 해치려 한 적 없었다."
    바다는 나를 품었다. 어머니처럼,
    태초처럼, 모든 상처를 덮고 나를 감쌌다. 
    나는 아무말 없이 울었다.
     
    나는 그 품안에서 다시 태어났다. 
    그리고 마침내, 나는 바다의 노래가 되었다. 
    나를 고래라 부르라!
  • ?
    에코 2025.04.27 21:30

    "The Whale"라는 영화를 무심코 봤었는데, 모비딕과 연결지어서 생각해보니, YC님의 상상력이 대단하시네요. 그 의미가 생생하게 들어왔습니다. 할리우드 영화가 이렇게 재해석해서 창조해 냈군요...저는 개인적으로 모비딕을 볼 때마다, "욥기"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악어를 떠올려거든요. 인간의 능력으로는 알 수 없는, 그냥 그대로 존재하는 질서인거죠. 영화를 다시 한번 봐야겠어요...


  1. The Whale

    "Call me Ishmael." 소설 모비딕의 유명한 첫 구절이다. 왜 아브라함과 그 정처의 아들인 이삭이 아니고 몸종 하갈의 아들인 이스마엘이라 불러 달라고 했을까? 이삭은 히브리 민족의 조상으로 일컬어지고 이스마엘은 아랍 민족의 조상으로 받들어지고 있다. ...
    Date2025.04.26 Category문화 예술 ByYC Reply3 Views106 Votes1 file
    Read More
  2. 감상문: 한강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의 소설, 작별하지 않는다를 설렘으로 읽었다. 그 소설을 읽을 때 인상적인 것은 연민으로 사람을 대하는 작가의 섬세한 태도와 그것을 담아내려는 문학적 표현방식이다. 작가의 태도는 화자로 등장하는 경하라는 인물을 통해서 드러나는데, 소설을 읽는 ...
    Date2024.11.18 Category문화 예술 By에코 Reply6 Views763 Votes3 file
    Read More
  3.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3> '알프스 소녀 하이디'를 만나다 초등학교 5학년으로 기억한...
    Date2024.11.17 Category문화 예술 By창공 Reply2 Views444 Votes0 file
    Read More
  4. <칼럼 42> 크루시블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2> The Crucible (도가니) - 마녀 재판과 추론의 사다리 서부...
    Date2024.11.11 Category문화 예술 By창공 Reply2 Views401 Votes0 file
    Read More
  5.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주의> 이 칼럼은 산행과 무관한 내용으로써 한 개인의 생각을 공유하기 위해 제공하는 글입니다. 이 점을 주지하셔서 주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부담없이 패스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칼럼 41> 한강은 되고, 왜 하루키는 안 됐을까? 한강 작가의 노벨 문...
    Date2024.11.04 Category문화 예술 By창공 Reply2 Views619 Votes0 file
    Read More
  6.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칼럼 40> 한강의 작품과 기억에 대한 소고(小考) 최근에 있었던 “한강”의 노벨 문학상 수여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여린 감수성의 소유자임에도 폭력에 대해서 온 몸으로 아파하면서 거부하고 저항했던 그녀. <소년이 온다>, <작별하지 않는다>에서 광주 5.18...
    Date2024.10.16 Category문화 예술 By창공 Reply0 Views774 Votes1 file
    Read More
  7. 설악산 암릉 이야기 3편 설악산 리지의 개척 등반사 (퍼옴)

    설악산 리지의 개척 등반사 (울산암, 천화대, 용아장성, 공룡능선을 설악산은 천태만상의 얼굴을 하고 수많은 등산객들을 맞이하는 천혜의 도장이다. 장대한 능선과 깊은 계곡, 사시사철 변화무쌍함을 보여주는 기암절벽은 많은 등산객들을 유혹한다. 산을 좋...
    Date2024.10.03 Category문화 예술 By돌고래. Reply1 Views572 Votes1
    Read More
  8. No Image

    설악산 암릉 이야기 2편 석주길

    하늘에서 꽃이 내려와 앉았다는 천화대(天花臺)는 설악에서 가장 아름다운 암릉길이고 그곳에는 '흑범길', '염라길', '석주길' 등 멋진 암릉길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석주길'은 아름다움 보다는 그곳에 얽힌 설화 같은 이야기로 더 유명하다. 그 슬픈 이야기는...
    Date2024.09.29 Category문화 예술 By돌고래. Reply1 Views463 Votes0
    Read More
  9. No Image

    고국의 산 설악산 암릉 이야기 1편 천화대

    여기 모두 산이 좋아서 모인 분들이라 다른 이야기보다 산에 관련된 이야기를 함 풀어 보겠습니다 물론 퍼 왔고요 제가 한국에 있을때 제일 좋아한 산 설악 입니다 지금은 자주 못가지만 항상 그리운 설악 입니다 설악산은 천태만상의 얼굴을 하고 수많은 등산...
    Date2024.09.28 Category문화 예술 By돌고래. Reply2 Views629 Votes2
    Read More
  10. 뜬금없이 시작하는 맹자이야기

    네~~~~ 뜬금이 없지만, 뭐, 여기는 자유로이 글을 쓰는 공간이니깐 시작해보려 합니다. 제가 산악회를 위해 할 수 있는게 뭘까 생각하다가 "맹자"라는 책을 장기간에 걸쳐 주 1회 올려보는 건 어떨까 생각했습니다. 아마도 4,5 년 정도는 걸릴꺼 같습니다. 어...
    Date2024.09.27 Category문화 예술 ByFAB Reply5 Views907 Votes0 file
    Read More
  11. 비틀즈와 의식의 흐름

    지난 주말 사라토가에 있는 mountain winery에서 비틀즈 콘서트를 관람하였습니다. 물론 진짜 비틀즈가 아닌 비틀즈의 cover band 중 실력이 좋다는 Fab Four의 공연이었습니다. 외모와 목소리도 비틀즈와 흡사할 뿐 아니라, 2 시간 가까이 라이브 공연을 지침...
    Date2024.06.22 Category문화 예술 ByYC Reply7 Views464 Votes0 file
    Read More
  12. No Image

    사카모토 류이치: ARS LONGA VITA BREVIS

    얼마전 우연히 사카모토 류이치가 죽었다는 소식을 뒤늦게 알았습니다. 아카데미 음악상을 수상한 영화 음악가로 영화 음악 외에도 80년대 Japanese electronic music으로도 세계적으로 활동했었죠. 사카모토가 영화음악가로 활동하게 된 것은 영화 "감각의 제...
    Date2024.06.08 Category문화 예술 ByYC Reply4 Views497 Votes0
    Read More
  13. 음악과 잡생각

    Gustav Mahler의 5번 교향곡 Adagietto가 잡생각의 시작이었습니다. 비는 오고 복잡한 머리를 식히고자 조용한 이 곡에 파묻혀 있었습니다. 이 곡은 Morte a Venezia라는 영화에 삽입되며 널리 알려졌습니다. Death In Venice • Mahler Symphony No 5 Adagiett...
    Date2024.02.06 Category문화 예술 ByYC Reply4 Views474 Votes1 file
    Read More
  14. <창칼 21> “하하하하하” 사태와 다양성과 포용

    <창칼 21> “하하하하하” 사태와 다양성과 포용 (하마스, 하버드, 하원, 하차, 하소연) 하마스와 이스라엘 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대학가에 반유대인 시위가 번지자, 최근에 미국 명문대 총장들이 줄줄이 미의회 청문회에 불려나와 곤혹스런 심문과 추궁을 당하...
    Date2023.12.13 Category문화 예술 By창공 Reply5 Views613 Votes0 file
    Read More
  15. No Image

    만남 중창단 정기 공연

    베이 산악회가 시발점이 되었던 만남 중창단의 정기 공연에 산우님들을 초대합니다. 5월 정기 산행 끝나신 후 오신다면 반가운 얼굴들도 보시게 될 겁니다. 감사합니다. https://baynewslab.com/%eb%a7%8c%eb%82%a8%ec%a4%91%ec%b0%bd%eb%8b%a8-%eb%b4%84-%ec%...
    Date2023.05.05 Category문화 예술 By길벗 Reply0 Views535 Votes0
    Read More
  16. No Image

    수락산 곰순이

    큰화면 https://youtu.be/N6yiHHXiiYc
    Date2023.02.16 Category문화 예술 By이장 Reply3 Views554 Votes0
    Read More
  17. 뮤지컬 렌트(RENT) 보신 분 계신가요?

    1999년이었던가 2000년이었던가 렌트는 제 생애 첫 브로드웨이 뮤지컬이었어요. 뮤지컬을 보고 너무 좋아서 극장에서 나오면서 거기 나온 노래 시디를 구입했더랬죠. 남편과 장거리 운전할 때 시디를 한 번씩 꺼내서 차에서 듣고 하던 기억이 아련하네요. 주말...
    Date2023.02.08 Category문화 예술 By파피 Reply11 Views768 Votes0 file
    Read More
  18. No Image

    산악인 고미영과 Anseilen

    지나간 한국 산악인들의 산속에 남겨둔 많은 이야기들 입니다 보신분 들도 계시지만 남는 영상이라 나누어 봅니다 Anseilen 단어는 영상 어딘가에 의미가 나오는데 한참 가슴에 남네요... 편안한 한주 되시길 바랍니다
    Date2022.05.15 Category문화 예술 By이장 Reply8 Views846 Votes0
    Read More
  19. 드라마 파찡코, 이민진 작가 그리고 한국인

    요즘 한창 달아오르고 있는 "파칭코”라는 드라마 때문에 행복하고도 괴로운 분들이 계실 겁니다. 우리의 과거의 이야기를 세밀하고도 현실감 있게 다룬 미국 드라마를 보는 쏠쏠한 재미가 그 행복일 것이고 지금 7회까지 나온 드라마가 한 주에 하나씩 나오는 ...
    Date2022.04.19 Category문화 예술 By창공 Reply5 Views639 Votes0 file
    Read More
  20. Frank Webb

    지난 주부터 주식시장도 폭락하고, 아침에도 또 폭락하고, 영 재미없는 한 주가 시작되어서 일이고 뭐고 다 때려치고 멍 때리다가 이래서는 안되겠다 글이라도 한바닥 쓰자...... 해서 한바닥 씁니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우선, 아리랑님과 가을님께 감사...
    Date2021.10.04 Category문화 예술 ByFAB Reply2 Views5002 Votes0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