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배움
2024.06.25 07:32

<창칼 37> 내 인생의 황금기

profile
조회 수 58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창칼 37> 내 인생의 황금기
                     (The Golden Age of My Life)
 

짧지 않은 내 인생에 황금기(黃金期)가 있었다.

그것은 20대 중반을 막 넘은 스물여섯 살과 스물일곱 살에 이르는 1여년의 짧은 기간이었다.

대학을 마치고 군 복무를 끝낸 직후, 유학을 떠나기 전의 짧지만 빛나던 공백기.
나는 그 시간 동안 아무것도 이루지 않았고, 어떤 성취도 없었다.
그런데도 이상하리만치 충만했다.
처음으로 어디에도 소속되지 않고, 누구에게도 얽매이지 않은 삶.
오롯이 나 자신으로 존재할 수 있었던 날들이었다.

어쩌면, 나를 규정할 어떤 ‘정체성’조차 없었기에
나는 더 자유로웠는지도 모른다.
나를 덧씌우던 모든 이름과 역할이 벗겨진 자리에서
나는 순수한 나로, 투명하게 존재할 수 있었다.

그 시간은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그때, 나는 남의 간섭으로부터도, 스스로 부여한 의무로부터도 벗어나 있었다.
어떤 관계에도 매이지 않았고, 오직 나와 마주하고 대면할 수 있었다.
읽고 싶은 책을 마음껏 읽고,
나의 내면을 천천히 들여다보며
조용한 기쁨과 깊은 평화를 누릴 수 있었다.

삶의 맛은 거창한 것에서 오지 않았다.
작고 평범한 일상 속에서 ‘확실한 행복’을 발견하는 ‘소학행’도 배웠다.

그 행복감의 비결은 각성을 통해 마음이 단순해지는 데서 오는 것이었다.
그 단순함은 꽃과 나무, 바람과 햇살과도 연결되게 했고,
확장된 의식은 우주의 미세한 떨림까지도 감지하게 만들었다.

그 무렵, 나는 비로소 알게 되었다.
행복은 어디에 가서, 무엇을 이루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자리에 그대로 머물며, 의식을 바꾸는 데서 시작된다는 것을.

몰입과 명상의 시간 속에서
나는 시간의 흐름이 멈추고,
나라는 존재가 사라지고
오직 ‘지금 여기’만이 존재하는
경이로운 순간들을 자주 맞이했다.

하지만 그 후로는, 유학을 떠나고, 사회인이 되어
언제나 무언가가 되기를, 무언가로서 살아야 했다.
어떤 이름, 어떤 신분, 어떤 역할 속에서
자유롭던 나를 조금씩 감추고 살아야 했다.

그래서 나는 확신할 수 있다.
그 시절이야말로 내 인생의 황금기였다고.

그렇다면, 그 마음의 단순함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첫째, 나는 당시 책 속에서 나의 정신적 스승들을 만났다.
그 만남은 내 의식을 흔들고 깨우는 혁명이었다.

둘째, 유학 준비를 구실 삼아 고향집에 머무르며
어떤 사회적 압박도 받지 않는, 드물고도 너그러운 시간을 선물 받았다.

셋째, 책을 읽는 단순한 행위 속에서
깨어있는 의식과 몰입이 가능하다는 걸 처음으로 체험했다.

넷째, 의식이 확장되며
일상이 우리의 의식을 얼마나 축소시키는지를 절감했다.

다섯째, 열린 의식은 나를 객체화하여 관조하게 했고,
사물들을 더 넓은 그림 속에서 조망할 수 있는 시선을 길러주었다.

여섯째, 나중에서야 알게 되었지만,
비일상적 의식 상태는 몰입을 쉽게 불러오며,

일곱째, 그 몰입이야말로 인생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깊고 순수한 행복이라는 것도 나중에서야 깨달았다.

그 적정(寂靜)하고 여유로운 시간 속에서 솟아오른 내면의 엑스터시는
내가 살아오며 겪었던 어떤 쾌락과 만족보다 더 높은 차원의 것이었다.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와 아브라함 매슬로(Abraham Maslow)가 말했던
‘인간의 절정 체험(peak experience)’을 나는 이미
그 젊은 날의 적정한 고요 속에서 맛본 셈이었다. (필자의 이전글, '몰입 과학' 링크

최근, 성해영 교수는 “종교 이후의 종교” 시대를 예고했다 (링크)
제도화된 조직 종교가 쇠퇴하고,
내면의 엑스터시를 통한 개인 종교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 했다.
나는 생각한다.
어쩌면 나는, 그 새로운 시대를 미리 맞이했던 것인지도 모른다고.

이제, 인생의 후반을 향해 가는 길목에서
그 황금기는 나를 지탱해주는 숨은 기둥이 되고 있다.
단조로운 일상을 넘어서
더 넓은 자아, 더 깊은 정체성을 향해 나아가게 해주는
보이지 않는 힘으로 남아 있다.

삶의 마감이 내게 가만히 손짓하는 이 시점에,
나는 조심스레 소망한다.
그 첫사랑 같은 황금기의 시간이
다시 한 번, 내 인생에 찾아오기를.

이제는 더 깊은 성숙과, 더 넓은 영혼으로
그 시절을 다시 껴안기를.
마치, 오래 잊었던 첫사랑을 다시 만나는 것처럼.
 
 

golden age 사진.jpg

  • profile
    창공 2024.06.25 07:34

    본문에 인용된 책:

    1. William James. 1902. The Varieties of Religious Experience (다양한 종교의 체험)  https://a.co/d/0cv572zM. /  https://en.wikipedia.org/wiki/The_Varieties_of_Religious_Experience

    2. Abraham Maslow. 1964. Religions, Values, and Peak-experiences (종교, 가치와 최절정 경험들)  https://a.co/d/099QglY0

    3. 성해영. 2024. 내 안의 엑스터시를 찾아서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2653578

     

    서울대 성해영 교수의 2024년 강연, "과거의 종교는 죽어야 한다": 

     

  • profile
    창공 2024.06.25 19:41

    이글에서 언급된 "엑스터시(ecstasy)"는 사전적으론 "황홀경, 희열"이지만, 어원적으론 '나 밖에 서다(ecs+stasy)'라는 뜻으로, 일상적 의식을 넘어 확장된 의식의 경지를 의미합니다. 아름다운 경치에 황홀해질 때도 이와 유사한 상태에 접어들죠. 

    이런 '나를 넘어서는 의식'에는 메타 인지(자기 인식을 넘어선 사고)부터 초월 의식(육감 이상의 확장된 의식)까지 다양한 단계가 있습니다. 초월 의식은 오감에 갇힌 자아를 벗어난 영적 진화의 상태로, 탈동일시(자기 정체성에서 벗어나는 훈련)나 몰입(FLOW)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

    종교적 경지나 예술적 황홀경도 엑스터시와 연결되며, 윌리엄 제임스는 이를 "인간 의식의 최절정"이라 설명했습니다. 엑스터시는 단순한 희열이 아닌, 의식의 확장을 이끄는 핵심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