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file
조회 수 180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창칼 29> 인간적인 아주 인간적인
그리고 너무 불완전한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 가끔은 인간이 다른 동물에 비해서 그렇게 뛰어난지 의심스러울 때도 있기는 하지만 우리는 하여튼 그렇게 믿고 있다. 
 
더불어, 무엇이 인간적인 것인지를 생각해 보게 된다. 남에 대한 따뜻한 배려? 자기 객관화? 도덕적 가치? 이성적 사고?
 
나는 인간적인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가 불완전함이라고 생각한다. 이 불완전함으로 인해 인류는 보다 완전해지는 이상을 꿈꿔왔고 그 약점을 발판으로 거대한 문명까지도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한데, 여기에 함정이 있다. 이상을 추구하는 성향이 살짝 왜곡되면 절대주의(absolutism)로 쉽게 변질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생각하는 절대주의란 영원히 변치않는 어떤 가치나 원칙을 설정해놓고 신봉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불완전하면 할수록 그것을 메꿔줄 수 있는 완전체로서의 가치나 기준 등을 믿고 쫓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건 인지상정이다. 
 
이런 이유로 이념이나 정치, 심지어 도덕, 종교까지도 극단으로 치달아  절대주의가 되기 쉽다. 정치적으로는 절대 군주제, 전체주의, 나찌즘 등도 절대주의라고 할 수 있겠다.
 
절대주의에 의존하는 종교들도 있다. 이 경우 절대적인 신을 상정해서 모든 걸 거기에 맡겨 놓고 기대면 이를 통해 평화와 안정감을 찾을 수 있다는 원리이다. 이는 인류가 개발한 아주 기막힌 장치이나 동시에 인류의 진화를 방해하고 역행하는 허점도 있다. 어느 종교에서는 선지자가 ‘율법주의’라는 절대주의를 깨뜨리러 왔다가 갔는데, 이 후에 이 선지자를 도리어 절대화해 버리는 일들을 보면서, 우리 인간들이 얼마나 절대주의의 유혹에 약한지를 알 수 있다. 그 유혹의 강도는 불완전함의 인식 강도와 반비례한다. 
 
개인적으로는 요즘에 건강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갖다보니 자주 생각해 보는 것이 있다. 현대 의료 시스템과 의료 행위에도 절대주의가 상당히 번져있다는 것이다. 많은 의사들이 자기가 배우거나 신봉하는 (제한적인) 요법이나 처방에 도그마적인 강한 믿음을 견지해서 아주 좁은 시각으로 환자들을 대한다는 것이다. 짧지 않은 생을 살아오면서 수없이 접해 본 경험으로서 이는 나뭇잎 하나만 보고 전체 숲을 보지 못하는 격이다. 이런 의사들의 편협한 의료 행위들을 직접 내부 고발한 유명한 의사의 베스트셀러 책도 있다 (링크).
 
예를 하나 들어보자. 혈관에 플라크가 끼는 동맥경화인 경우에, 미토콘드리아 교란 > 인슐린 호르몬 교란 > 조직 세포들의 인슐린 저항 > 인슐린 증가와 염증 증가 > 혈관 내피세포 손상 > (치유를 위한) 백혈구 +콜레스테롤 + 단백질 등의 내피세포 봉합 과정 등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 생기는 것이거늘, 결과 값의 아주 작은 한 요소에 불과하는 콜레스테롤 수치 하나만을 가지고 그게 근본 원인이 양, 많은 의사들이 거기에만 매달린다. 그 결과, 약을 무작정 때려 박아서 그 수치만을 낮추려고 애쓴다. 그런다고 망가져가는 미토콘드리아들이 다시 살아나고 인슐린 기능이 회복되어 대사가 정상으로 돌아오는 것도 아닌데도, 복잡한 메카니즘을 무시하고 그것만 땜빵하면 모든 것이 회복되는 것인양, 콜레스테롤 절대화에 빠져 있다. 조직 생성과 유지에 필수인 콜레스테롤을 강한 약으로 떨어뜨려 뇌기능 저하, 생식력 저하와 대사 교란 등으로 몸이 파괴되는 것은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별로 없다. 만약에 이런 문제를 환자가 제기하면 본인들의 권위가 떨어지는 양 화를 내면서 환자를 쫓아버린다. 유툽에서 접한 어떤 의사들은 공공연히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을 다 괴담이나 음모론 유포자로 치부해 버리면서 스탠다드 어쩌고 하면서 자기 치료법 맹신을 강하게 주장 한다. (에피소드 1: 최근에 부작용의 심각성을 제기하는 똑똑해진 환자들이 많아지자 위기의식을 느꼈는지 "스타틴이 그대를 구원할지니"라는 괴팍한 제목으로 영상을 올린 대한심장학회 소속 의사도 있다 (최근에 다시 보니, 이전 제목이 약했다 싶었는지 더 터무니없는 제목 "불로 장생 스타틴"으로 바뀌어 있었다 - 링크
 
암을 대하는 주류 의료계의 자세도 이와 비슷하다.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작용의 이상과 그에 따른 세포들의 대사 작용 이상으로 종양과 암 세포가 자라는 전체 그림을 무시하고 세포의 유전자 이상으로 모든 것을 몰아서 암세포를 죽인다고 강한 화학약품으로 몸을 다 망쳐놓는다. 병든 나무 하나를 없애려고 숲을 다 태워버리는 격이다. 암튼, 이런 절대화된 의술의 예들은 이외에도 수도 없이 많다. 이런 도그마적 의료행위는 의사 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크게는 수익을 만들어 내야 하는 시스템 안에 갇혀있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기도 해서, 이들이 측은하기까지 하다. 
 
망가진 과학 이니셔티브(Broken Science Initiative, 링크)를 공동 창설한 에밀리 카플란(Emily Kaplan)에 따르면, 많은 의학 연구들이 연구자의 편견, 데이타 조작, 거대 제약회사들의 지원을 통한 이권 개입등으로 왜곡된 결과들을 양산한다는 것이다. 그런 조작된 결과들을 의료계는 전폭 받아 들여서 특정 의료 방법 (특히, 약처방법)을 절대화하는 단계까지 이르게 된다. 콜레스테롤에 대한 신화적 가설과 스타틴 약 처방법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한 번 심어진 방법은 나중에 반박하는 연구결과들이 나와도 이미 절대화 돼버려서 바꾸기도 어렵다. 이 모든 것이 인간의 불완점함에서 나온다고 할 것이다.
 
뇌과학적으로 보면 절대주의는 사고의 경도화다. 일상에서도 보면 성장 과정이나 받은 교육 등에 의해 심어진 가치나 윤리, 도덕 등의 관점이 굳어져서 절대주의적 신조나 신념으로 옮겨 가는 경우가 많다. 직장에서도 자기의 도덕주의나 율법에 빠져서 자기 기준에서 남을 함부로 판단하고 공격하는 사람들도 많다. 자기의 잣대가 좁다는 생각은 하지도 못한다. 절대주의 함정이 얼마나 무서운지도 깨닫지 못한다.
 
이런 도그마의 함정을 어떻게 깨뜨릴 것인가? 그것이 시대적인 화두인 것 같다. 
 
뇌과학에서 도그마적 사고(Dogmatic Thinking) 혹은 교조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를 억제하고 지성의 성장을 방해한다고 돼 있다. 쉽게 편견과 편협함으로 치달아 다름에 대한 배타적 차별 의식을 조장하고 현실 감각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자기 가치만 옳다는 사고의 경직은 사회에서 여러 갈등을 일으킨다고 돼 있다. 
 
그러니 그 어떤 과학적 혹은 의학적 연구 결과, 그리고 어떤 도덕적 혹은 종교적 가치를 절대화하는 순간 인류는 갇힌 세계로 향하는 함정에 빠져 버린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간의 부족함과 불완전함을 항상 인지하고 있는 가운데 의식을 열고 유연한 사고를 가질 때만이 우리는 앞으로 더 나아가고 진화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불완전하다는 그 자체로 절대주의에 쉽게 빠질 수 있다는 맹점을 자각하고, 늘 새로 배우고 성장해가는 사람들, 끊임없이 성찰하고 자기 ‘지식의 가설’을 부수고 다시 세울 수 있는 사람들이 많을 때 사회도 진화하고 개개인들도 건전하게 성장해 갈 것이다.
 
도그 어쩌고, 도그 저쩌고를 반복했더니 오늘 따라 웬지 핫도그가 땡긴다!! ^^
 
 
 

불완전함 3.jpg

  • profile
    창공 2024.03.06 19:02

    본글에 언급된 책과 웹싸이트, 참고 영상입니다. 

    2019. Ken Berry. Lies My Doctor Told Me: Medical Myths That Can Harm Your Health (의사들이 전하는 거짓말들) https://a.co/d/a145Swf

    Emily Kaplan. Broken Science Initiative (오류투성이의 과학 연구들을 고발하는 운동), Website: https://brokenscience.org/  

    2024. MEDICAL RESEARCH IS BROKEN with Emily Kaplan (Interview) (오류투성이의 의학 연구, 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Pru0w3mnico 

     

    참고 영상: 

    2024. Dr. Philip Ovadia. #1 Heart Surgeon: The Cause Is The Food That We Eat! (새로운 파라다임의 심장병 접근법을 알려주는 심장의사 인터뷰) (심장병을 콜레스테롤 수치로 접근하지 말고, 인슐린 저항으로 생기는 염증을 근본 원인으로 해서 새롭게 접근해야 한다고하는,새로운 파라다임을 알려 주는 심장의 인터뷰) 

    2024. Your Doctor Is Wrong About Cholesterol (콜레스테롤을 잘못 이해하는 의사들을 위해 제대로 설명해주는 의사의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sY48qLl9ZzE&t=161s 

    2022. You WANT High LDL Cholesterol (콜레스테롤이 높으면 좋은 이유 - 보스톤 대학에서 5년동안 콜레스테롤만 집중 연구해서 콜레스테롤 박사가 된 앤쏘니 제이 박사가 왜 콜레스테롤이 높은게 오히려 축복인지를 잘 설명해주는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eZ-x5PRkSxI

     

  • ?
    에코 2024.03.06 20:09

    창공님 잘 읽었습니다. 존재나 상태가 불완전한 상태로 있어야, 완전 상태를 추구하면서 생명력이 되살아 나고, 문제가 치유된다고 하죠. 자기가 완전하다고 생각하는 상태로 계속 있으면, 편안한 상태로 있을 수는 있지만, 어떤 프레임에 갖혀서 문제가 곪아 터질 때까지 문제의 핵심을 망각할 수 있죠. 그래서 우리가 계속해서 renew 해야 하는 이유가 아닐런지요....  공감합니다!!!

  • profile
    창공 2024.03.08 07:40

    공감에 감사 드립니다. 하지만 늘 딜레마에 빠집니다. 저를 포함해서 사람들은 보고 싶은 거만 보는 의식 구조를 가지고 있어 자기가 보는 시각을 바꾸기는 너무나 지난한 일인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대로 "곪아 터져 보기까지"는요. 과학만이 유일하게 생각을 바꾸게 해 주는 도구일텐데, 그 과학마저 견실하지 않을 때는 엄청난 혼란과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죽기 전까지 이 문제에 천착해 볼만한 문제인것 같아요. 과연, 다 자란 성인이 자기 관점을 바꿀 수 있는가?

    어려운 주제이니 만큼 도전해 볼만한 가치도 그만큼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 profile
    창공 2024.03.07 07:42

    분문에서 언급한 에피소드 1에 이어 에피소드 2입니다:

    에피소드 2: 최근에 우연히 연세대 병원에서 대표 심장의를 하다가 은퇴한 조***이라는 의사가 현직 의사들을 상대로 강의하는 유툽 동영상 씨리즈를 보게 됐습니다, 거기 보니 어떻게 의료 도그마가 형성되고 전수되는지 절절히 알게 됐답니다.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시대에 뒤떨어지는) 선택적 대표  논문들을 들고 나와 보여주면서 스타틴 약처방의 절대적인 권위를 내세우며 (부작용이나 효과가 없다는 반대 주장들의 핵심적 이해도 없이) 헛된 소문 몇 개를 예를 들면서 이 모든 것이 괴담과 음모라고 하면서 흔들리지 말라고 의사들에게 가르치더군요. 이렇게 권위 있는 의사한테 거의 세뇌 받다시피 교육 받은 의사들이 일선으로 나가서 어떤 프레임으로 의료에 임할지를 잘 보여주는 예를 목격하고 알게 돼서 정말 씁쓸했지요. 요즘에 대사 질환에 걸려 환자가 됐다가 새로 깨어나고 태어난 의사들이 커밍아웃해서 부작용도 많고 효과도 미미한 약처방 위주의 낡은 파라다임의 의술을 비판하는 케이스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예, 아래). 의술 대혁명의 여명이 열리고 있다고 봐집니다. 환자 반란 - 환자 혁명 - 의사 반란/혁명으로 이어지는 대혁명이 조만간 오리라 희망을 품어 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9nciZj8-Xk

  • profile
    창공 2024.03.07 21:26

    실은 바로 윗댓글에 올린 영상을 최근에야 보게 됐었는데, 이 로버트 루프킨(Robert Lufkin) 의학박사가  올 6월 출간 예정인 책 "내가 의대에서 가르친 거짓말들: 기존 의료 시스템이 어떻게 환자들을 더 병들게 하고 있고 어떻게 하면 거기서 벗어날 수 있는가?"라는 긴 제목의 책(을 Amazon에서 오디오북으로 사전 구매구했습니다. (책 링크)

    Lies I Taught.jpg

     

    의사를 하다가 직접 환자가 돼보고 나서야 현재 미국 의료시스템이 각종 병의 근본 원인 치료없이 증상만 없애는 약물 치료법에만 치중하는 등으로 어떻게 병자들을 반대로 더 양산하는지, 이 망가지고 거꾸로 가고 있는 시스템의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생생하게 직접 체험하고 고발하는 책이라는 데,  보건이 무너지는 이 시대에 소중한 자산이 될 것 같습니다. 

    우리 모두 행복하게 살기 위해 꼭 필요한 건강. 병원과 의사 없이 살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그게 뜻대로 안 되는 세상에서,

    이런 양심적인 의사들이 점점 많이 나와서 그동안 문제 투성인 의료 시스템을 개선시키는데 힘이 되면 좋겠다는 소박한 소망입니다.

    2달 후에 출간되면 다 읽어보고 독후감을 써 볼 생각입니다. 기대되는 사람이 한 사람만이라도 있더라도요. ^^ 

  • ?
    사비나 2024.03.30 18:34
    좋은글들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들 흥미롭게 읽고있으니까 (저는 그렇습니다), 계속 올려주세요
  • profile
    창공 2024.03.30 17:25
    서로 다른 시기에 의사들이 하는 "거짓말"이라는 제목으로 책을 펴낸 두 명의 유명한 의사 둘이 대담하는 영상을 최근에 봤습니다. 
    위의 제 댓글에서도 언급이 됐고 또 제 본문글과 관련된 의미 심장한 내용들이기에 공유 해 봅니다. 
     
    Why Does Your Doctors Lie to You? (의사들은 왜 당신에게 거짓말을 하는가?)
    https://www.youtube.com/live/ZkkbwA7We2U?si=ULALb4H63t7Iv27i

     

    그들의 저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en Berry (2019): Lies that doctors told you (의사들이 당신에게 들려준 거짓말들) (책 링크)
    2. Robert Lufkin (2024): Lies that I taught in Medical School (의대에서 내가 가르쳤던 거짓말들) (책 링크)
     

List of Articles
분류 제목 글쓴이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홍어 요즘 제가 읽는책이 황석영의 "맛있는 세상" 인데, 이책에 홍어에 대한 것이 있어 그대로 카피했습니다. 몰랐던것들이 있어 재미있었습니다. 황석영씨의 책 ' 맛... 아지랑 23 0 2016.01.29
기타 행락객 행락객, 등반객, 산악인 요사이 이 단어들이 우리 사이트를 달구고 있습니다. 이 단어와 더불어 생각나는 친구 하나가 있습니다. 제게 산악인 등반객 행락객의 차... 12 file YC 328 0 2023.02.01
포니 익스프레스 (The Pony Express) 의 역사 Pony Express 는 1860 년 4월에 시작해서 비록 19개월만에 끝났지만, 그당시에는 혁신적인 우편배달 방법이었습니다. 시작은 미주리주에 있는 세인트죠셉 (St. Jo... 아지랑 22 0 2016.01.29
문화 예술 테슬라 보고서 메리츠 증권에서 테슬라에 대한 보고서가 나와서 올립니다. 테슬라에 대한 내용이지만 미래 기술 발전 방향 및 이해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 4 file FAB 155 0 2020.10.07
문화 예술 테슬라 배터리 전쟁 테슬라에 대한 보고서가 하나 더 보이길래 마저 가져왔습니다. 이번에는 테슬라가 목표로 하는 배터리 개발에 대한 내용입니다. 테슬라가 추구하는 발전방향은 이... file FAB 88 0 2020.10.09
크룩스 픽 (Crooks Peak)의 사연 : Mt. Whitney 옆 Hulda Crooks 라는 캐나다여자는 66 세때 마운트 위트니를 처음 등반 해서 91 살때 까지 23 번이나 열심히 올라간 공 으로 마운트 위트니 옅에 옅에다 그녀의 성... file 아지랑 30 0 2016.01.29
건강-웰빙 카풀시 보험 및 개인 책임에 관하여 코로나 상황이 완화되어 가는 즈음에 백신 접종도 일반화 돼가고 있고, 카풀도 점차 늘고 있는 거 같아서 카풀에 대해서 간단하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최근에 ... FAB 298 0 2021.04.28
음식 & 요리 첫번째 요리 이야기 첫번째 요리 이야기 지난번 저희들 홈페이지에서 백호님과 올가닉님이 후기에서 Point Reye 지역과 Bodega Bay 지역에서의 미루가이 조개 채취에 대해 언급하신걸... 10 file 보해 206 0 2024.04.25
기타 지촌님 글모음 4 화백의 붓끝이 그려낸 달 항아리 기자명 이병로 미국 주재기자 입력 2021.09.20 08:00 수정 2021.11.01 21: 이병로의 백패킹 연가 _ 시에라 네바다中 화백의 붓끝... 2 FAB 165 0 2022.02.17
지촌님 글모음 3 이병로의 백패킹 연가 _ 시에라 네바다上 침봉과 호수가 빚은 신의 비원(秘園) 미나렛 침봉들과 그 아래 깃든 세 개의 호수가 빚어낸 숨은 비경을, 나는 ‘신의 비... FAB 74 0 2022.01.11
기타 지촌님 글모음 2 원문 링크 http://www.sans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666 이병로의 백패킹 연가 _ 그레이트 샌드 듄즈 국립공원 모래바람이 부르는 밤의 노래 글 ... 1 FAB 159 0 2021.12.26
기타 지촌님 글모음 (5) 바람, 꽃, 빙하 그리고 그 자연을 닮은 사람들 기자명 이병로 미국 주재기자 입력 2022.08.05 08:00 댓글 0 바로가기 복사하기 본문 글씨 줄이기 본문 글씨 키우... 12 FAB 268 0 2022.09.19
기타 지촌님 글 모음 1 올 초에 워싱턴 DC로 이주하신 지촌님께서 "사람과 산" 잡지의 미주 주재기자로 활동을 하고 계시다는 소식을 전합니다. 본 잡지에 기고하신 글들이 몇편 보여서 ... 3 FAB 217 0 2021.11.30
기타 정회원 토론방에 글 하나 올렸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회원 토론방에 산악회 발전에 필요한 논제를 하나 올렸습니다. 보시고 의견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산악회의 재정 상태와 자산 상황을 수시로 열... FAB 1036 0 2020.10.20
역사 잉어 낚시 좋아 하십니까? 펄펄 날뛰는 Silver Carp 일명 Invasive Asian Carp 입니다. 지나가는 보트 엔진소리에 놀라서 펄쩍펄쩍 뛴다고 합니다. 여기는 인디애나주의 Wabash River near ... 4 file 아지랑 135 0 2016.01.3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