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1.05 15:51

님버스 연어 양식장

조회 수 5504 추천 수 0 댓글 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아메리칸 강의  님버스 양식장.
산란하기 위해서 바다에서 강을 따라  250 마일을 거슬러 올라오는 연어를 계단식으로 끌어 올린후 부화장에서 산란하게 합니다.
이곳에서 부화한 알은 어린 시절을 보내다가 적당한 크기가 되면 다시 강으로 방출 됩니다.  
연어가 위로 위로 튀어 올라 가게 계단식으로 디자인된 Ladder 는,
자연상태에서는 연어가 태어난 고향을 찾아가야 하므로 당연히 물살을 꺼꾸로 올라가야 하기때문에 그렇게 만듬니다.
바다에서 강으로 올라온 연어는 먹을것을  안먹고 오직 산란에만 열중합니다. 
숫컷은 수정하기 위해서 색스홀몬의 작용으로 붉은색으로 변합니다. 


암컷은 4,000 여개의 알을 낳읍니다.   자연상태에서는 알은 계곡이 천천히 흐르는곳에 굵은 모래밭에 낳읍니다.
그리고 부화한 새끼는 강에서 바다로 흘러가 2 년이나 3년정도 바다에서 자라다가
1,000 개의 알 중에서 오직 2-3 마리 정도의 연어가 성숙할때까지 살아남아서,
자기가 태어난 강으로 돌아와서 산란 한다고 합니다.
연어는 정확하게 자기가 태어난 고향냄새를 찾아 갑니다.  누가 가르쳐 준것도 아닌데..

Run of Chinook (King) Salmon on the American River, CA at the Nimbus Hatchery Fish Ladder



이 무시무시하게 생긴것도 연어 입니다.
Sockeye salmon 의 수컷은 수정하기위해서
색스홀몬의 작용으로  모습이 심하게 변형 됩니다.
몸은 빨간색으로 변하고 등이 곱추처럼 올라 옵니다.  그리고 주둥이는 갈고리처럼 변합니다.
맨밑에 있는수컷은 느려터졌읍니다. 아직도 변형이 진행중 인것 같음...빨랑 좀 해라~(아님,암컷인가?)
sockeye-salmon.jpg


입만 잘 벌려도. ...
bears-salmon_.jpg
  • ?
    sky 2013.11.05 16:09
    이맘때 South Lake Tahoe Taylor Creek 에서 민물 연어 봤었는데, 크기도 아담하니 먹음직스러워 보였습니다.
    제가 침 흘리는 모습이 너무 티가 났는지 여자 레인저가 달려와 이런저런 주의사항을 알리고 갔지요...
  • ?
    아지랑 2013.11.05 16:51
    부화장에서는 아마 암컷에서 알을 꺼내서  부화 접시에 놓고, 수컷을 붙잡고 강제로 정자를 쥐어짜서
    접시에 있는 알위에 뿌려서 수정 시킨다고 합니다....(진짜로).
    자연상태에서도 어짜피  새끼 만들고  암놈 숫놈 다 죽는데...부화장이라고 뭐 별 수 있겠는가.

    The full process from egg collection to releasing reared salmon and trout back into the tributaries of Lake Ontario.
  • ?
    산. 2013.11.05 17:14

    맞아요! 거의 고문 수준이예요..수컷들 진짜 불쌍해요 ㅠㅠ
    동물의 세계에서는(인간포함)  수컷들 진짜로 불쌍한것 가타요  ㅋㅋㅋ 

  • profile
    연어까나페.jpg
    저 싱싱한 연어로 이런거 한번 맹글어 먹으면 어떨까여? 연어 까나페
  • ?
    sky 2013.11.05 17:27
    전 저번에 올리신 연어 살라드가 더 좋아요!
    이 바닥 색깔 너무 자극적이예요. 바꿔주심 안될까요???
  • profile
    저도 퍼온거라 내리기 전에는 방법을 모르겠네요. 식욕을 자극할려고 자극적인 색깔을 했나 보네요.
    연어까나페2.jpg
    이거는 어떤가요? 버터로 구운 식빵대신에 오이로 대체, 케이퍼대신 날치알, 생크림대신 마요네즈랑 머스타드 소스를 위에 뿌렸네요. 

  • ?
    sky 2013.11.05 17:47
    그냥 해 본 소리고요, 마음 차분히하고 뽀샾 공부하면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


  • ?
    아지랑 2013.11.06 07:50
    연어는 정확하게 자기가 태어난 고향을 찾아 갑니다, 아무리 멀어도...
    연어의 뇌속에 아주 작은 일종의 안테나가 있어서  지구의  Magnetic lines 을 이용해 용케 자기가 태어난 강가를
    찾아 낸다고 합니다.  잡은 연어의 안테나를 찾겠다고 해부하지 마시고..ㅋㅋㅋ... 먼지 보다 더 작은 Particle 수준입니다.
    바다에서 강으로 들어가면서 부터는 후각을 이동하는데 개보다 2 배로 후각이 발달해서,
    자기가 어렸을때 떠나온 곳의 냄새를 찾아 온다고요...

    모든 연어가 바다에서 4 년을 보낸후 강가로 돌아와 산란하고 다 죽는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태평양에서 오는 연어 (Pacific Salmon) 는 산란이 끝나면 죽고,   
    대서양에서 오는 연어 (Atlantic Salmon)는 매년 산란하러 고향으로 돌아 온다고 합니다.
    Pacific Salmon 이 산란이 끝나면 왜 암컷 수컷이 다 죽는지는 아직도 모른다고 합니다.
    Steel-head Salmon은 산란후 죽지 않기 때문에 양어장에서 Air Compressor 로 알을 꺼낸다고.....으으으 소름끼쳐.

    붉은색이 좀 있는게 숫컷입니다.  숫컷은 암컷을 살살 건드려 암컷에게 뱃속에 있는 알을 밖으로 내보내라고 신호를 합니다.
    암컷은 모래 바닥을 꼬리로 치면서 알을 군데군데 낳읍니다.  숫컷이 알위에다 정액을 뿌려 알을 수정시킵니다.


    <
  • ?
    Sunbee 2013.11.06 08:14
    거참
    신비롭고 신기하네요.
    산행지 관련 이런 저런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산행도 하고, 체험학습도 하고....;)

  • ?
    아지랑 2013.11.06 08:18
    Every year grizzly bear families in North America depend for their survival on a spectacular natural event: the return of hundreds of millions of salmon from the Pacific Ocean to the mountain streams where they were born. The salmon travel thousands of miles to spawn and then die. The great run not only provides food for bears, but for killer whales, wolves, bald eagles, and even the forest itself.

    연어는 태어난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당연히 물살을 거슬러가야 하므로 계곡에서 바위를 만나면  높이뛰기를 잘해야 합니다.
    사람으로 비유해서 말하면 4 층정도의 높이까지 뛴다고 합니다.  고향으로 가는 길이 이렇게 험난해서야...

    마지막 2 분-1.5분에 보이는 공중에서 찍은,  나뭇잎 잎맥처럼 사방으로 퍼져있는 강과 개천이 인상적이라 이 동영상을 올려 봤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