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201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관심있는 분들을 위해 장비 구매에 도움이 되라고 몇자 올립니다.  자세한 것은 이 링크로 가서 둘러 보세요. http://www.climbextreme.com/indexnew.php#

 

1.  암벽화(rock shoes):  슬리퍼, 벨크로(일명 찍찍이), 끈으로 묵는 세가지가 있다.  슬리퍼는 실내 암장용으로 많이 쓰이고 슬리퍼는 볼더링과 실내에서, 끈으로 묵는 것은 전통 바위용으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 모두 아무 곳에서 해도 무방하다.  개인적으로 벨크로를 좋아한다.  쉬는 동안 바위에 매달려서 벗고 신기가 편해서.  암벽화는 첫번째것은 조금 넉넉한 것을 사는 것이 좋다.  어차피 초기에 너무 어려운 바위는 안할 것이므로 너무 꼭 조이는 것을 사면 발이 아파서 바위하는 즐거움이 반감 된다. 넉넉하다고해서 헐렁할 정도면 안된다. 꼭껴서 발끝으로만 섯을때 발이 아프면 안된다는 것이다.

 

2.  하네스(안전벨트): 하네스중에는 스포츠클라임용으로 다리에 버클이 없는 것들이 있다.  이럴 경우 겨울에 옷을 많이 입고는 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실내암장용으로 가벼운 것을 원하면 버클이 없는 것도 좋다.  하네스는 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므로 되도록 좋은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바위를 하다 보면 매달려서 한시간 이상 있게 될 때가 많을데 그럴때 좋은 하네스가 굉장히 탐나게 된다.  되도록이면 거벽용으로 넓고 두툼한 것이 좋다.  Misty Mountain, Metolius, Petzl의 거벽용 하네스를 추천하고 싶다.

 

3.  하강기(Belay/Rappel Device):  튜브형과 팔자 하강기가 있는데 무조건 튜브형이 좋다.  가끔 팔자로 배워야 된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건 옛날 포니자동차가 좋았다고 하는 사람과 같다.  튜브형으로 Black Diamond것도 좋지만 Petzl의 Reverso라는 제품이 내가 좋아하고 사용하고 있는 하강기이다. Petzl의 그리그리라는 제품이 있는데 이는 실내 암장에서 빌레이를 보는 데 많이 쓴다.  하지만, 이를 하강기로 쓸수 없고 또한 가격이 비싸서 권하고 싶지는 않다.  이것 없이도 얼마든지 등반이 가능하다.

 

4.  잠금 카라비너: 카라비너는 여러 좋류가 있는데 스크류를 돌려서 게이트가 열리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런 것이 두개 필요하다.  하나는 하강기를 하네스에 하기 위해서 이고 또 하나는 데이지체인을 볼트에 걸때 필요하다. 이를 고를 때는 가장 크고 가벼운 것으로 하면 된다. 자동은 사용해 보니 불편하다.  그냥 돌리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HMS하고 써있는 것으로 고르는게 좋다.

 

5.  데이지 체인:  웨빙끈으로 하네스에 묶은 후 몸을 벽의 볼트나 체인에 걸을때 쓰인다.  물론, 등반 줄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요즘은 데이지체인을 많이 쓴다.  Top roping을 할때는 필요 없지만 멀티피치 등반을 하게 되면 무척 아쉬울 것이다.

 

6. 헬멧:  플라스틱 바가지 스타일이 있고 자전거 헬멧처럼 전체가 스트로폼으로 되어있는 두가지 이다.  후자가 좋지만 비싸다.  난 아직 플라스틱으로 된 것으로 쓰고 있는데 스타일은 별로 지만 충분히 만족한다.

 

이외에 Chalk Bag, sling, quick draw등이 있지만, 일단은 위의 장비들만 있으면 공동장비를 가진 사람들과 등반이 가능해 진다.  물론, 안전교육, 빌레이 교육, 기초 등반 테그닉을 배운후에 가능하겠지만...
  • profile
    지다 2008.05.28 12:51
    이것도 좀 질러야 되는군요...
    흐음... 생각 좀 해 봐야겠네요. 암벽등반을 하면 골프는 포기를 해야 할 것 같아서...ㅠㅠ
  • ?
    echoman 2008.05.28 12:51
    저 벌써 돌아왔습니다. 요세미티에 다녀 오신 분들보다 제가 먼저 돌아 왔어요 ^^ Climbing교실을 정식으로 하는 것은 좀 더 생각해 봐야 할 듯 합니다. 하지만, 오는 주부터 저희 정기 산행이 없을때 암벽등반 번개를 쳐 볼 생각입니다. 바람내음님도 함께 하시면 더욱 좋을 듯 합니다. 이번 주는 Castle Rock이란 곳에서 해 볼까 합니다. 잠시 후 번개공지를 올리겠습니다.
  • ?
    바다 2008.05.28 12:51
    에코맨님

    지금 막 알이에이 갔다 왔어요. 온라인 보다는 스토어에 물건이 별로 없더군요. 그래도 설명해주신거 보고 가니, 뭐가 뭔지 감은 잡히더군요. 감사 합니다.

    하지만, 망설이다가 못샀습니다. 사놓고, 품질이 나쁜거 선택해서 후회 할까봐. 몇번 더 가보고 살려구요. 그리고 생명이 걸린 건데, 안 좋은거 사기도 그렇고 해서요..

    며칠째 종일 등반 장비 싸이트만 보고 있으니, 같이 일하는 애들이 몇마디씩 다 하네요.

    아무래도 에코맨님 환영회 한번 하면서, 자세한거 물어 봐야 할듯.

    회장님, 에코맨님 환영회 언제 합니까?

    아, 그리고, 가만 생각해 봤거든요, 이게 소모임으로 이끌어 전체를 위해 나쁜게 아닌가 하고요.....

    그런데 그냥 벙개 형식으로만 해서, 관심 있는 사람만 하면 전체의 대세를 거스르는건 아닐거 같고요.

    전체의 대세를 거스릴까봐,,

    실은 그럴까봐, 혼자 딴데 가서 배울려고 계획중이었고, 또 다른 모임 가입할라 그랬는데, 실력이 모자라 가입이 안되서요. 다른분들 만나서 제가 암벽에 대해 묻고 다녔거든요.

    그러던 와중 에코님이 이렇게 도움의 손길을 주신다니 저는 반가울 따름이지만, 이게 부디 다른분들의 맘을 상하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만약에, 나중에 전체 모임에서 이런 소모임이 등산회의 큰 대세를 거스린다고 지적이 되면, 애초 생각대로 그냥 딴데 가서 배울려고요.

    그리고 회장님이 제가 왜 암벽에 바람이 불었냐 궁금해 하셨는데, 친구들이 암벽을 계속 했었어요 (한국 사람들 아님). 그래서 호기심은 있었는데, 초보자가 끼기도 그렇고 해서, 또 초보자로 민폐끼치기도 그래서, 그냥 혼자 배우고 싶었습니다.
  • profile
    지다 2008.05.28 12:51
    바다님, 소모임에 대해서 너무 예민할 필요는 없는 것 같습니다.
    정기모임을 큰 축으로 해서, 지역별 번개 또는 암벽등반과 같은 소모임이 활성화 되면, 회원들 간에 더 긴밀한 유대관계가 형성이 되어서 좋을 것으로 저는 생각하는데요...
    정기산행과 conflict만 없이 계획하여 소모임으로 이끌어 가면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제 생각 보다는 회장님의 생각이 중요하겠지요...
  • profile
    지다 2008.05.28 12:51
    아 또 예민하시네...ㅎㅎ
    해 보지도 않고 걱정하는 걸 "기우"라고 하지요.

    저녁 먹으면서 아들넘이랑 얘기하다 보니까, 이 넘이 암벽등반에 관심이 있길래, 한 번 델꼬 갈라고 하니까 계속 추진해 주세요~
  • ?
    echoman 2008.05.28 12:51
    에고, 일주일 한국 같다온 걸 가지고 환영모임을 한다니까 너무 쑥스럽네요. 그러지 말고 정기 산행에서 만나서 얘기나누는게 좋을 듯 합니다. 여기서는 한 잔하면 운전하기가 그래서 만나는 게 좀 그러네요^^ 전 만나면 한 잔을 꼭 해야 하는 것 같은 버릇이 들어서 그러나요. 후후. 그리고 장비는 나쁜 것은 팔 수 는 없고요, 자기와 궁합이 잘 맞냐는 거죠. 근데 그건 써 봐야 아는 거니까 너무 신중을 기하다 보면 괜히 두통만 생기겠죠. 쓰다가 나중에 하나 더 구입하는게 정신건강엔 더 좋을 수도 있겠죠.

    그리고 소모임이라고 해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사실은 모임은 아니니까요. 제가 개인적으로 하고 싶어서 하는 벽등반인데 산악회니까 관심있는 사람이 있으면 함께 하자는 거지요. 벽등반으로 모임에 영향을 줄 생각을 전혀 없고 또 하자고 권유를 할 생각은 없습니다. 단지, 벽등반은 자연스럽게 시작 할 수 있는 등반이 아니라 누군가에게 정보를 얻고 훈련을 해서 시작해야 하는 것이라 혹 관심이 있으신 분은 같이 하자는 뜻 입니다.

    그렇게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