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행락객

by YC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행락객, 등반객, 산악인  

요사이 단어들이 우리 사이트를 달구고 있습니다.

단어와 더불어 생각나는 친구 하나가 있습니다.

제게 산악인 등반객 행락객의 차이를 알려 주고 여러 가르침(?) 친구이죠.

 

같이 북한산, 수락산을 다니며 친구가 정의한 행락객, 등반객, 산악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행락객: 산에 가되 정상에 오르지 않고 유흥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 주로 계곡에서 음식을 먹으며 고스톱을 즐긴다.
  • 등반객: 정상까지 오르고 내려 온다. 먹는 것은 내려와 식당을 찾는다.
  • 산악인: 산에서 1 이상을 한다. 먹는 것에 의미를 두지 않는다.

 

여기 식으로 표현하면, tourist, hiker, backpacker 정도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진정한 산의 즐거움을 모르는 20대의 우리는 행락객이 되기로 하였습니다.

수락산 계곡에서 구워 먹은 삼겹살이 지금도 생각나네요.

 

친구는 생기고 크고 유머러스해 여자들에게 인기가 많았습니다.

머리를 기르고 다닐 때는 만화 캔디캔디의 테리우스가 현실로 튀어 나온 같았습니다.

1.png

 

 

그래서 연애 경험이 많은 이 친구에게 제가 한참 여자 친구 문제로 고민할 조언을 구했습니다.

녀석의 대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꽃은 꺾지 말고, 꺾은 꽃은 버리지 말고, 버린 꽃은 뒤 돌아 보지 말라고 내가 얘기하였는데, 일을 이렇게 꼬아 버렸냐?"

 

그래도 해결책을 물어 보니 자기 경험에는 이런 경우 장문의 편지가 도움이 되니 보라는 것이었습니다.

길게 쓰면 정성이 보인다고.

얼마나 쓰면 좋겠냐고 물으니 자기는 다섯 페이지를 썼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작 녀석은 편지 보낸 여자 친구와는 헤어졌습니다.

정도 정성으로는 안 되는 같아 저는 다섯 받고 더해 A4 열장에 뒤로 적어 편지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여자 친구는 지금 옆에서 저녁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친구는 또 개를 좋아했는데 키우는 마리의 이름이 "두환"이와 "태우"였습니다.

가끔 기분 좋으면 한번씩 사랑의 발길질을 하곤 하였습니다.

개를 사랑하시는 분들께 죄송합니다.

개에 대한 80년대 한국 감수성은 요새와 많이 달랐습니다.

저도 답답할 XX들의 이름을 크게 외쳐 부르면 기분이 좋아졌습니다.

 

멋진 친구도 지금은 나온 아저씨가 되었지만

만나면 여전히 산에 갑니다.

이제는 행락객은 아니고 등반객으로 성숙해졌습니다.

 

행락객이라는 단어로 오랜만에 자식 생각이 났습니다.

주말에 전화해 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