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오랜만에 샌프란시스코 문화에 대하여 한바닥 써봅니다. 부제 : 시청하고 종교개혁이 무슨 관계 ?

by FAB posted Aug 17, 2025 Views 302 Replies 0
?

Shortcut

PrevPrev Article

NextNext Article

ESCClose

Larger Font Smaller Font Up Down Go comment Print

 

1517년 독일 비텐베르크 성당 문에 걸린 95개 항목의 논제로 시작된 종교개혁은 미술사에도 영향을 끼쳐 바로크 양식이라는 화려하고 웅장한 사조를 탄생시켰습니다. 그러한 화려함과 웅장함으로 표현되는 사조는 카톨릭을 중심으로 전개된 반면, 신교쪽에서는 성경 자체를 강조하는 환경이다보니 미적 표현을 최소화하는 경향을 띄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사회적 배경하에 1570년 무렵 이탤리 비첸차에서 활동하던 근대 건축의 태두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팔라디아니즘 건축은 신교를 따르던 지역에서 일대 혁명적 유행을 불러일으키게 됩니다. 팔라디아니즘 건축이란 간단하게 기술하자면, 그리이스 신전건축을 팔라디오가 재해석한 것으로 대표적인 표현양식은 기둥 위에 삼각형 모자(Pediment)를 씌워놓은 모양의 템플 포르티코(Temple Portico) 양식입니다.

Ionic_temple_portico.jpg

포르티코라는 것은 주랑현관(柱廊玄關) 이라는 뜻으로 이탤리 볼로냐에 가시면 세계에서 가장 긴 포르티코에서 하루종일 비를 맞지 않고 걸으실 수 있습니다.

50[2].2010271132073.jpg

건축가 팔라디오는 템플 포르티코를 이용해서 많은 건물을 지었는데, 그 특징은 바로크와 대비해서 단순 질박으로 표현할 수 있고, 이것은 신교가 표방하던 최소한의 미적 표현과 부합하면서도 품격을 지키면서 아름다움에 매몰되지 않는 절묘한 건축 양식이었던 거 같습니다.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1580년에 죽은 지 100 년이 지난 1688년 영국에서는 카톨릭을 신봉했던 제임스 2세가 명예혁명으로 실권하고 뒤이어 네덜란드 출신의 윌리엄3세가 집권하여 영국에서도 신교의 시대가 시작됩니다.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이름이 빌럼이었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William을 Bill 이라고 부르게 되는 연유가 됩니다.)

신교가 실권을 잡게 되면서 영국에도 팔라디아니즘 건축이 진출하여 붐을 이루게 되어 그 전에 유행하던 고딕이 주춤하고 팔라디오의 템플 포르티코가 영국건축의 새로운 주류로 자리잡게 됩니다. 그로부터 다시 100년이 지난 1783 년 미국은 파리조약을 통해서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하게 되고, 미국은 신교를 신봉하던 이민자들에 의해 영국식 건축양식으로써 공공건물들을 짓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에서 영국식 건축양식이란 템플 포르티코가 정면(Fasad)을 장식하는 팔라디아니즘 건축입니다.

20250114_120004.jpg

1850년에 샌프란시스코는 1849년 시작된 골드러쉬로 인해 조그만 바닷가 마을에서 일약 도시로 변모하였습니다. 급격한 발전도 있었지만1906년의 대지진으로 도시는 80퍼센트가 파괴되었습니다. 그 후 1914년도에 복구가 완료되어 이듬해 1915년에 팰리스 어브 화인 아츠에서 파나마 퍼시픽 국제 엑스포가 개최됨으로써 샌프란시스코는 도시로서 완성을 보게 되었습니다. 바로 그 해 샌프란시스코 시청은 베이크웰 앤 브라운 건축사에 의해 완공되었는데, 샌프란시스코 시청은 팔라디아니즘 건축의 대표적 건물입니다. 이외에도 리전 어브 아너, 증권거래소를 비롯해서 빌딩 숲을 다니다보면 엔타시스 양식의 기둥들이 보이는 건물들을 여기저기 많이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건물들이 17세기 영국 런던에서 시작된 영국식 건축물들이며, 페인티드 레이디스가 위치한 헤이트 애쉬버리 주택가에서도 동일한 양식이 즐비하여 도시의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고전적인 건물들을 보시면 500년 전 베네치아에서 활동했던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쏘아올린 신고전주의 건축양식을 생각하시면서 즐감하시기를 권합니다.

20250114_154903.jpg

조만간 길일을 택해서 샌프란시스코 일일관광 한번하려고 생각 중입니다.